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급변하는 농촌 관광의 환경변화 및 트랜드 분석을 통한 농촌체험 사업화 전략 모색, 농업경영체의 농촌체험 창업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및 창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총 10일 72시간에 걸친 귀농창업활성화를 위한 농촌체험 창업과정 교육을 실시했다. 본 교육은 농촌체험 창업을 계획 중인 경상북도 거주 귀농인과 농업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 1박 2일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이번 농촌체험 창업과정 교육을 통해 농촌관광과 체험교육의 이해 및 체험관광 트랜드 분석, 농촌체험교육 지도 이론 및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창업절차, 프로그램 개발 실습 등 창업 상용화 전략을 목적으로 교육에 참여한 농업경영체가 자신만의 비즈니스모델을 수립할 수 있도록 기획운영하였다.
또한 이론 교육에서 그치지 않고 창업 선도농가 현장견학을 통한 농촌체험 사례분석, 마인드맵을 통한 체험프로그램 기획법 작성과 학교 교육과정 연계를 통한 체험프로그램 시연 등의 실습교육도 같이 진행했다. 특히 교육과정 마지막날 진행한 농장디자인의 이해 및 실습, 농촌체험창업 비즈니스모델 수립은 그동안 교육과정에서 배웠던 것들을 정리하고 농업경영체 스스로가 비즈니스모델 수립을 완성하기 위한 교육으로 교육에 참여한 농업경영체가 제시한 비전을 통해 꿈꿔왔던 농가 모습을 그려보고, 자신만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농장소개글을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졌으며 내 농산물의 가치이해를 통한 타겟고객 설정, 유통채널의 확보 등 구체적인 농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계획을 구상할 수 있었다.
비즈니스모델을 작성하는 방법 또한 복잡한 사업 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닌 '비즈니스모델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프레임을 활용하여 간순하지만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모델최적화를 중심으로 구상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비즈니스모델캔버스는 비즈니스의 가장 중요한 9개의 영역을 블록화하여 각 블록들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어떻게 경영체가 수익을 창출하는지 이해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틀이며, 비즈니스모델캔버스를 작성하는 교육생은 가치 제안(농업경영체가 제품 및 서비스를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중심으로 가치가 어떻게 고객에게 전달되고, 어떻게 수익이 창출되는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동시에 고객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 가는지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초점으로 하고한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서 진행하는 농촌체험 창업과정 교육에서는 교육에 참여한 모든 농업경영체 대표들이 빠짐없이 자신만의 비즈니스모델을 수립했으며, 교육에 참여한 한 농업경영체 대표는 '농장운영을 기획하는데 있어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항상 고민이었고 서류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비즈니스모델수립 교육을 통해 내가 그 동안 머리속에서만 생각하고 있던 것들을 실제로 담을 수 있는 답안지를 작성한 것 같아서 기뻣다."며 "오늘 작성한 농장디자인설계가 앞으로의 새로운 사업 및 창업에 큰 도움이 될 것." 이라며 이번 교육을 준비해준 경상북도농업기술원과 교육을 진행해주신 좋은세상바라기(주) 최병석 박사에게 고마움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