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용역직 파업의 경과는 용역직 노조의 전면 파업에 따라 병원 내 환경미화, 환자이송, 병동보조 등의 업무에 공백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병원에서는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근무자 투입, 사무 및 행정 분야 근로자의 업무 지원 등 동원 가능한 방법을 모두 이용해 대처하고 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공공기관이기에 앞서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 순위에 두어야 할 의료기관입니다. 용역직 노조는 환자의 안정과 안전이 가장 중요시되어야 할 병원에서 출입구와 로비를 점거하고 농성을 계속함으로써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 및 의료진들의 이동을 어렵게 하고 정상적인 진료가 이뤄지는 것을 방해했으며, 병원 용역업체 근로자 신분이 아닌 민주노총 소속 외부인을 영입해 시위의 규모를 키웠다.
이에 더해 환자를 이송하는 앰뷸런스와 환자 및 보호자 차량이 지나가는 동선에 시위차량을 무리하게 진입시키고 이를 제지하는 병원 직원을 밀치는 위협적인 행동을 보였으며, 병원 어린이집이 위치한 행정동 앞에서 고성으로 단체 시위를 이어가는 등 과격한 양상을 보였다.
민주노총 공공연대노조는 2017년 7월 20일 이후 입사자는 제한경쟁이 아닌 공개경쟁을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정부의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탈락자 없는 전환채용만을 요구하며 협의를 거부하고 기약 없는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병원의 입장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채용과정의 공정성을 확보하여 국민의 신뢰를 지켜야 할 책임이 있으며 정부 가이드라인과 채용비리 방지 추가지침을 위배할 수 없으므로 현재 용역 노동조합에서 요구하는 채용방식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부의 가이드라인(2017.7.20.) 및 채용비리 방지 추가지침(2018.11.1.)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정채용이 보다 요구되는 업무는 경쟁 방식에 의한 채용, 제한경쟁, 가점부여 등 일정부문 비정규직 보호도 병행, 2017년 7월 20일 이후 채용된 자는 원칙적으로 전환대상자가 아니므로 공개경쟁 등 보다 엄격 채용이다.
병원은 위 정부 방침에 따라 기존 근무자 중 2017년 7월 20일 이전 근무자에 대한 제한경쟁 채용은 물론 이후에 근무를 시작한 근로자에 대하여도 가점을 부여하는 등의 안을 제시하였으나, 무조건 전환 채용 외에는 모두 거부하여 지부 측과의 협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하루 빨리 병원이 정상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있으며, 병원을 찾는 환자들의 건강과 생명을 위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도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소임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