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수상한 책 읽기

​​


이상한 책방을 하는 이상한주인이 있다. 한 달 68권의 책을 읽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하니 상식을 넘어선 뜻밖의 존재를 만난 셈이다. 인문 360을 지향하는 나로서는 자투리 시간에 틈틈이 책을 읽고, 한주에 1, 한 달에 4권씩, 일 년에 48권을 읽자는 거창한 목표를 세웠는데, 그를 생각하면 초라하기 그지없다.

 

이런 내 상식과 크나큰 목표를 여지없이 박살 낸 헌책방 주인의 이력이 수상하다. 전공은 컴퓨터를 하고, 상고에서 주산을 배웠다는 이 젊은 책방주인은 책 읽기에 암산법을 적용하고, ‘문사철을 도입한다.

 

암산식 읽기는 보이는 문장을 한 줄씩 읽는 것이 아니라, 2~3줄씩을 겹쳐서 읽어 내려가는 것이다. 어릴 적 주산을 배우며 암산을 익힌 경험이 있는 나로서도, 암산할 때 머릿속에 주산의 그림을 그려놓고 셈을 해가는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다. 바로 그러한 이미지를 문장에 적용하여 내리읽는 방법이다.

 

문사철 읽기는 헤겔의 변증법을 차용한다. ‘정반합의 역사발전론을 문장에 적용하듯 사학-문학-철학으로 변용되는 이론을 읽기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상한 주인장에 따르면, 역사는 승리자의 유산이므로 그 안에는 반드시 모순된 부분이 있고, 이러한 모순을 문학은 자유롭게 반박하여 반대의 이론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정과 반의 자유로운 융합의 바탕은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철학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문사철 읽기이다.

 

나의 읽기 전략은 3S(Scanning, Skimming, Skipping)를 활용하고 역삼각형 읽기를 적용한다. 많이 알려진 3S(훑어 읽기, 가지치기, 건너뛰기) 기법이다. 어렵지 않으므로 훈련을 통해 각 기법을 연습할 수 있으며, 각 기법이 별도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실상 세 가지 기술을 종합하여 활용하게 된다.

 

독서를 하면서 깨닫게 된 것은 지도 작성의 필요성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생각의 지도를 그리는 일이다. “학교는 정해진 틀에 맞추어 교육함으로써 인간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퇴보시킨다는 이반 일리치(Ivan Illich)주장이 다소 극단적임에도 불구하고, 책 읽기를 통한 경험을 통해 나는 그의 생각에 상당히 공감하게 되었다.

 

자율 속에 이루어지는 책 읽기의 경험과 즐거움은 독자가 지도를 그릴 수 있게 한다. 어느 단계에 이르면 스스로 책을 선택하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어떻게 책을 읽을 것인가에 관한 책 지도를 그릴 수 있다. 책 지도를 그릴 수 있다면 생각의 지도로 나아갈 수 있으며, 생각을 그릴 수 있는 사람은, 자신만의 삶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주체적인 삶을 운영해 갈 수 있는 삶의 지도를 그릴 수 있다고 본다. 궁극적으로 책지도생각의 지도삶의 지도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지도는 상호 긴밀하게 작용하여 책을 통한 즐겁고 명철한 삶을 만들기에, 책 읽기의 생활화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을 것이다.

 

손에 쥐고 있는나는 이렇게 읽습니다의 책날개 속에서 웃고 있는 이 이상한나라의헌책방주인이 또 어떤 이상한 일을 벌일지 의혹의 눈길을 거둘 수 없다.

 

 

 

[신연강]

인문학 작가 / 문학박사]




 

 



편집부 기자
작성 2020.01.10 10:14 수정 2020.01.10 10:1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