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최대 전염병 연구시설이지만 정부 무관심에 예산과 인력 부족 허덕여
- 메르스, 코로나19 등 신종 전염병 예측되는 만큼 국책연구소 지정 서둘러야!
<최채근 기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전북 전주시 갑, 민주평화당)은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현안보고에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현재 국가적 규모의 전염병·감염병을 연구할 수 있는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운영되고 있지만 정작 정부의 무관심으로 방치되고 있다”며 “전염병·감염병에 대한 예방·연구 대책으로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를 국책연구기관으로 지정해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는 2013년 12월 국비 317억 원과 지방비 48억 원 등이 투입돼 아시아 최대규모로 건립되었다. 그러나 시설과 장비는 있어도 이를 활용할 연구 인력도, 연구 예산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으로 인해 코로나19와 같이 갑자기 발생하는 신종전염병 연구에 발 빠른 대응은 못하고 있다.
김광수 의원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자료를 받아본 결과 현재 연구소 소장은 공석이고, 교수 5명, 연구관 및 연구사 5명, 행정직 3명 등으로 총 13명에 불과하다”며 “예산도 지난 2018년 15억, 지난해 15억 원에서 올해는 8억 5000만원으로 깎여 예산과 인력 부족으로 제대로 된 연구가 힘든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 상황을 보면 과연 이곳이 아시아 최대의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인지, 또 국가 예산이 투입되는 곳이 맞는지 의문이 든다”며 “코로나19 감염증처럼 신종 바이러스가 계속 나올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늦었지만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를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책기관’으로 지정해 예산 및 인력 확대로 연구소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광수 의원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생계의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지 못하는 중소상공인, 자영업자, 택시업계, 일용직노동자 등 서민 지원책 마련을 위해 앞장서 왔으며, 학교 내 감염증 확산방지 1차 대응 역할을 하고 있는 보건교사의 인력 부족을 파악하고 보건교사 확충 및 지원 인력 투입 대책을 촉구한 바 있다.
기사제보 cg4551@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