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지난해 유기동물 줄고, 주인반환-입양 늘었다

2019 동물 보호관리 실태조사, 동물복지 시민의식 한 단계 성숙

대전시 동물보호센터에서 입양 전 기본검사 받는 유기견


대전시는 2019년 동물 보호·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유기동물 발생이 2018년도 대비 10% 줄었다고 26일 밝혔다.  


대전시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4,843마리(개 2,751마리, 고양이 1,993마리, 기타 99마리)의 유기동물이 발생했는데, 이는 2018년 5,333마리(개 3,138마리, 고양이 2,125마리, 기타 70마리)에 비해 490마리 줄어들었다.


대전시의 유기동물의 감소는 2015년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대전시의 최근 유기동물 발생 추이는 2015년 3,407마리, 2016년 4,556마리, 2017년 5,103마리, 2018년 5,333마리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유기동물 발생 감소와 함께 소유자 반환율과 새 주인을 찾는 입양률은 증가했다.


2018년 18%(957마리)였던 주인 반환율은 2019년 21%(1,010마리)로 늘어났고, 2018년 21%(1,145마리)였던 입양률도 2019년 26%(1,240마리)로 크게 늘었다.


대전시는 이 같은 변화를 동물 복지에 대한 시민 의식이 성숙해지고,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주인에게 되돌려주고 동물을 내다버리지 않도록 하는 동물등록제가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대전시는 2011년부터 동물보호센터를 시 직영으로 운영 중으로, 대전시 동물보호센터에서 유기동물을 입양하는 시민에게는 ▲ 무료 내장형 동물등록 ▲ 무료 전염병 키트(kit) 검사 ▲ 목욕·미용 서비스 ▲ 입양 지원금(최대 10만 원) 등 다양한 입양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유기동물의 입양을 원할 경우, 동물보호센터를 직접 방문해 동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입양상담을 완료한 후 동물을 인도받으면 된다.


입양가능 동물은 대전시 동물보호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방문 시 신분증과 입양동물을 운반 할 수 있는 캐리어를 준비해야 한다.


대전시 인석노 농생명정책과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던 유기동물 발생량이 지난해 처음 감소한 것은 큰 성과”라며 “동물복지는 시민의 참여와 공감대 형성이 중요한 만큼 사람과 동물이 함께하는 사회를 만드는데 시민 여러분들이 동참해주셔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훈 기자
작성 2020.02.26 09:00 수정 2020.02.26 09:00

RSS피드 기사제공처 : 사회안전.학교폭력예방신문 / 등록기자: 이동훈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일본군 #위안소
#일제강제노동
#친일파 #친일반민특위하자
#박정희 #독도밀약 #전두환증거인멸 #독도지키미#고문 #이승만박정희 ..
#제암리 #고주리사건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