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원 국회의원, “ 청소년 자해와 자살를 예방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시행해야”

- 최근 5년간 청소년 자해, 자살시도 총 34.552

- 평균 매해 1,220명 자해, 자살 시도, 5년간 4,881건으로 2배 증가

- 청소년 5년간 자살자 3,748, 사망원인 8년간 고의적 자해, 자살 1

- 청소년 자해, 자살 시도가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국회 강병원 의원(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원회, 서울 은평을, 재선)이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5년간(2015~2019) 자해, 자살 시도 청소년은 총 34,552명으로 5년전(2015) 하루평균 13.5명에서 2019년 하루평균 26.9명으로 청소년 자해, 자살 시도는 2배가량 증가했다.

청소년 5년간(2014~2018) 자살 건수는 총 3,748명 이고, 하루평균 2.26명에 달했다. 사망원인은 8년간(2010~2018) 고의적 자해, 자살이 1위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지부는 별도의 청소년 자살 예방 특화사업이 없다. 교육부와 여가부 등에서 청소년 자살 예방 사업을 진행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청소년 자살률이 매년 상승하는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주무부처인 복지부가 재역할을 하지 못 한다는 지적이 제기 되는 이유다.

 

강병원 의원은 “OECD 자살률 1위라는 참담한 지표가 보여주듯, 우리나라 청소년은 과도한 입시경쟁과 대학 서열화에 내몰려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런 사회를 만든 어른의 한 사람으로서 커다란 책임감을 느낀다라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어서 자살엔 개개인의 특성과 성장 배경, 사회구조, 친소집단의 압력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는 만큼, 범정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우선 주무부처인 복지부가 행동해야 한다. 청소년 자살 위험군 파악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동시에 청소년의 자해와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피력하면서, 이것이 청소년이 불행한 사회를 물려준 우리 어른들이 해야 할 최소한의 도리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기사제보 cg4551daum.net


한국의정방송TV


최채근 기자
작성 2020.10.05 10:52 수정 2020.10.05 10:53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의정방송TV / 등록기자: 최채근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