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균등기회와 드론 일자리 정책

한국드론뉴스닷컴 발행인 손윤제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드론산업의 팽창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는 물론이고 국내의 드론 산업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 한 언론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드론 관련 기업은 2015400여 곳에서 20192500여 곳으로 6배 가까이 늘었다(이코노미조선 자료)고 한다.

 

또 며칠전 채널A 단독보도에서는 해양수산부가 지난해11월 입찰을 통해 사들인 드론 23대가 중국산 인지도 모르고 구입한데다 가격도 시중가보다 비싸다고 방송하는 등 드론산업의 팽창과 함께 문제점들도 많이 드러나고 있다.

 

본지 발행인 손윤제는 무인멀티콥터 드론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20)에서 4차산업혁명 무인항공기 시장을 확대하고 정부가 정책적으로 드론산업에 대한 고용과 정책적 예산을 높여 나갈 때 비로소 드론 국가자격 취득자들의 수요도 늘어나고 산업 전반에 활발한 성과가 나타 날 것이라고 진단한 바 있다.

 

아직 자격증을 취득하고도 일부 드론 종사자 외에는 일자리가 없으며, 법인격을 갖추지 못한 드론 관련 소규모 업체가 기술은 있는데 장비나 규모가 작아 각종 관련사업 입찰 등에 참여하지 못하는 실정을 감안해 정부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첫째, 정부 관할 부처에서 각 기관 산하에 드론 관련 정직 또는 기간제 드론 업무 인력을 적극 모집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기관에서 드론 관련 업무로 정직원을 일정기간 교육하여 임무수행을 한다고 하더라도 전문자격 취득을 하고 숙련된 비행기술과 능력을 구사하는 드론 인력 보다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분명히 있는 것이다.

 

둘째, 드론을 제조하는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에게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국비과정 드론교육 지원에도 더 많이 확대 보급하는 시급한 과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는 다양한 일자리에 종사하는 대중들을 거울삼아 정책을 펼치고 나아가야한다는 게 본 발행인의 생각이다.

 

아무리 좋은 정책과 인적네트워크를 갖추더라도 힘 있는 일부 대형업체의 배불리는 정책이라면 4차 산업의 혁명을 가져 올 드론산업의 발전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국내 드론산업의 초창기부터 드론산업의 활성화와 인재육성 및 교육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한 전문가가 최근 국내에서 입찰 받은 드론을 중국산으로 들여온 것을 보고 내뱉은 일침이 떠오른다.

 

참 한심하기 짝이 없네요~ 비싸게 구매하고 활용은 부족하고 계약 당사자는 대형업체만 살찌우는 지금의 형태이구요! 드론을 기관들이 사지말고 우리들처럼 전문인력을 고용하면 일자리 창출도 될터인데...제가 맨날 부딛치는 현실 입니다.”

  (한국드론뉴스닷컴 발행인) 

 


정천권 기자
작성 2020.10.07 13:19 수정 2020.10.07 15:58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드론뉴스닷컴 / 등록기자: 정천권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