랄록시펜, 코로나19 임상 눈앞 도 식약처 제출

코로나19 세포감염 차단 및 폐손상 억제 효과

한-EU 공동연구, 후속 임상시험 후 허가 앞당길 것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에 효과 나타낸 골다공증 치료제 랄록시펜의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8일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은 골다공증 치료제인 랄록시펜의 코로나19 치료 효과 탐색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서를 식약처에 제출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 4월 발족한 경기도 코로나19 임상연구협의체는 아주대병원, 경기도의료원과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이 참여해 랄록시펜을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임상시험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이후 생체내 시험, 자료 보완 등의 과정을 거쳐 임상시험계획서 제출을 최종 완료했다.

 

임상시험 계획이 식약처에 통보되면 11월 초 환자모집 등 임상연구를 개시하고 12월 말 임상시험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임상시험은 경기도의료원 입원환자와 생활치료센터 격리 환자 약 100명을 대상으로 하는 탐색적 연구자 임상이다.

 

이를 통해 임상 증상 개선도와 바이러스 감소율을 통계화해 랄록시펜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경기도는 경과원이 유럽연합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한 한-EU 국제공동연구프로그램에 랄록시펜이 주요 후보약물로 포함돼 있다.

 

경기도와 유럽의 전 임상 및 임상시험 결과를 서로 공유하게 되면 치료제 허가를 크게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귀완 경과원 수석연구원은 랄록시펜이 다양한 작용기전을 통해 바이러스의 세포감염을 차단하고, 코로나19 감염동물의 폐손상 억제 효과를 보이는 등 생체내 시험 결과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값싸고, 안전하고, 효과 좋은 랄록시펜이 임상에 성공해서 코로나19 종식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번 임상시험의 연구책임자인 허중연 아주대의료원 교수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계속되고 있는 시점에 경기도에서 발굴한 후보약물을 이용한 본격적인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어 더욱 의미가 크다조속히 한국형 치료제를 선보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지난 6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과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활성 규명을 위한 공동연구를 통해 세포 수준에서 랄록시펜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활성이 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장현숙 기자
작성 2020.10.08 22:06 수정 2020.10.08 22:06

RSS피드 기사제공처 : 인천데일리 / 등록기자: 장현숙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