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시각 10월 6일, 대만의 국회인 입법원에서는 미국과의 재수교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대미복교' 결의안에 입법위원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 더욱이, 이번 결의안의 발의 주체가 평소 친중 성향의 행보를 보이는 제1야당 국민당이었기에 이번 결의안이 미·중 양국에 가지는 파급효과가 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당연히, 평소 중국으로부터의 강한 독립을 주창하는 차이잉원 정부 양안 관계에서 대만 자체의 독립을 지향하는 집권당 민주진보당 역시 이번 결의안을 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의안의 주체인 국민당은 당시 집권당으로서 1992년 '하나의 중국' 원칙을 바탕으로 중국과 대만의 안정적인 양안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92공식 합의'를 맺었던 바가 있다. 92공식 합의를 부정하는 등 강한 독립 행보를 보이는 민주진보당과 달리, 국민당은 92공식 합의에 따라 안정적인 양안 관계와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중시해왔다.
하지만 최근들어 2019년 홍콩 사태나 대만 '방공식별구역(ADIZ)'에서의 중국의 군사위협 등의 문제가 주목받음에 따라 대만 내에서 반중 정서가 크게 확대되었고, 결정적으로 2020년 1월 11일, 제15대 중화민국 정부 총통 선거에서 국민당 후보로 출마한 한궈위 후보가 38.6%의 득표율로 낙선하는 등 정권교체에 실패함에 따라 국민당 당내에서도 중국과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서문과 대만 해협 양안 관계 설명서가 동시에 명시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국 대륙의 합법적인 중국 정부는 오로지 하나라는 주장을 의미한다. 서방 국가 중에서는 미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최초로 인정하여 1979년에 중국과 수교하기 위해 대만과 단교를 했던 전례가 있으며, 이후 많은 국가도 해당 원칙을 채택해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하고 수교하는 외교 노선을 채택하였다.
2019년에 들어서 대만의 수교국은 15개로 줄어들었으며, 이마저도 유럽의 소국 바티칸 시국을 제외하면 중앙아메리카 국가와 남태평양 도서국에 해당할 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만의 대미복교는 반전을 맞이할 중요한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2018년 미·중 무역전쟁 이래로, 대만과의 경제적, 군사적 협조노선을 강화하는 미국의 움직임으로 볼 때, 대만이 제시한 대미복교가 향후 국제정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관해 세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