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희 국회부의장, 원전 산업안전관리 ‘위험의 외주화’ 계속되고 있다.

- 5년간 산업안전사고 피해자 협력사 50명으로 한수원 직원의 5한수원 11

- 2017년에는 원전 배수관 거품제거 작업 도충 맨홀 추락으로 하청직원 사망

-  위험작업에  하청직원만  내몰아서는 안돼”,  철저한  점검관리와  인명 피해  근절  대책 필요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협력사 하청 직원의 산업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 원전 노동자 인명피해 근절대책이 시급하게 마련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국회 김상희 부의장(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경기 부천병)이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61명의 직원이 안전관리업무 중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원자력발전소 안전관리자 사고 발생 현황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합계

한수원

8

0

0

1

2

0

11

협력사

14

9

8

10

8

1

50

자료출처 : 한국수력원자력

   

김상희 국회부의장

특히,  해당 제출자료에 따르면, 총 사고자 61명 중 약 80%에 해당하는 49명의 협력사 직원이 안전관리업무 도중 부상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도에는 해수 배수관 거품제거 장치를 철거하던 협력사 직원이 작업 중 추락하여 사망하는 일까지 발생했다. 한수원 소속 직원의 사고 건수는 11건으로 집계됐다.


이에, 김상희 부의장은 그 어떤 일도 사람의 생명과 안전보다 앞설 수 없다고 말하며 산업안전사고 피해자의 대부분이 협력사 직원인 것으로 나타나 원전 현장에서 위험의 외주화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부의장은 소속에 구분 없이 고위험 산업안전 관리 작업자에게 안전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기본적인 일이다. 원전 노동자 안전관리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감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상희 부의장은 국정감사에서 여러 차례 지적되었음에도 원전 산업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 대단히 유감스럽다. 원전 노동자의 안전한 근무 환경을 위해 이번 국감에서도 다시 한 번 강조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cg4551@daum.net 

한국의정방송TV

 

 

 

 


최채근 기자
작성 2020.10.11 18:06 수정 2020.10.11 18:49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의정방송TV / 등록기자: 최채근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