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드론 영상 분석으로 식량작물 재배면적 빠르게 파악

옥수수 개화기 촬영 시 정확도 약 90%, 농업통계 보조자료 활용

      

 

  (전국=한국드론뉴스닷컴) 정천권기자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드론 영상을 분석해 넓은 지역에서 재배 되는 작물의 재배면적을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특허출원했다.

   드론 영상 분석은 드론으로 면 단위의 넓은 지역(4,000ha)을 촬영한 뒤 영상에서 농경지 전자지도(스마트팜 맵)를 이용해 농경지 추출하고, 식생지수(NDVI)와 인공지능(머신러닝)을 통한 분석으로 총 재배 면적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농산물 재배면적을 파악하면 안정적인 식량 수급 정책합리적인 영농계획을 세울 수 있다.

    

    지금까지는 많은 인력과 비용, 시간을 들여 현장으로 직접 찾아가 관찰, 조사하거나 항공 영상이나 위성 영상을 활용해 농산물 면적을 파악했다.

 

    농촌진흥청이 충북대학교, 공간정보와 함께 드론 영상 분석으로 풋옥수수 주산지인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의 옥수수 재배면적을  추정한 결과 약 90%의 정확도를 얻었다.


    드론은 1시간당 300헥타르(ha)를 촬영할 수 있다. 이번에 조사한 감물면의 경우는 이틀에 걸쳐 총 16시간, 20회 촬영했고 영상분석에는 총 24시간이 걸렸다.

 kdnnews@daum.net



정천권 기자
작성 2020.10.16 05:00 수정 2020.10.16 05:13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드론뉴스닷컴 / 등록기자: 정천권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