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BS 고등교재 무상지원 현황 '19년 이후 8분의 1 수준으로 급감
- 신청 방식 변화 이후 지원규모 감소해 신청, 수령방식 변화가 필요
- 김상희 부의장, “EBS교재 무상지원 방안 다양화해 계층 간 교육격차 해소해야”
’2019년부터 EBS 교재 무상지원 방식을 바꾼 이후로 고등 교재 무상지원 사업실적이 급감해 교재 신청, 수령방식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국회에서 제기되었다.
국회 김상희 부의장(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경기 부천 병)이 한국교육방송공사(EBS)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EBS 고교 교재가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연평균 16만 6,000명에게 58만2,500권 수준의 무상지원이 이루어진 반면, ’2019년부터 ’2020년에는 20만 75명에게 7만 6,234명으로 8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표> EBS 고교 교재 무상지원 현황
(단위 : 명, 책)
구분 | 2016 | 2017 | 2018 | ’16~18. 평균값 | 2019 | 2020 | ’19~20. 평균값 | |
고등 | 인원 | 170,000 | 166,000 | 162,000 | 166,000 | 18,164 | 21,987 | 20,075 |
책수 | 597,000 | 579,000 | 571,500 | 582,500 | 67,670 | 84,798 | 76,234 | |
자료출처 : 한국교육방송공사, 김상희 의원실 재구성
국회 과방위 김상희 부의장은 “기존에는 학교 차원에서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권자 가정의 학생 수를 파악하여 일괄 신청·배부했던 방식이었으나 ‘낙인효과’에 대한 우려로 ’19년 이후 지원방식이 개편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부의장은 “하지만 교재 지원방식에 대한 홍보가 미흡하고, 접수 후 배송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돼 불편이 적지않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상희 부의장은 “한국교육방송공사가 교육부와 긴밀히 소통하여 교재 무상지원방식의 다양화·효율화를 꾀해야 한다”며 “특히 고교 교재지원은 대입과 직결되는 만큼 무상지원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보완해 교육격차 완화에 기여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cg4551@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