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 김구, 높은 문화의 힘을 가진 대한민국을 꿈꾸다.

백범 김구의 소원, 한국 문화의 힘.

높은 문화의 힘을 가지게 된 대한민국.

현재 한국은 문화 강국으로 나아가고 있는 중.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한 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기 때문이다. (백범 일지 - 나의 소원 中)

백범 김구 선생님께서는 가지고 싶은 힘을 높은 '문화의 힘'이라 하셨다김구 선생님은 문화의 힘이 얼마나 강력한 것인지 알고 계셨던 것이다. 영화 기생충, 보이그룹 방탄소년단, 걸그룹 블랙핑크 등 한류가 전 세계로 퍼지고 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대중문화는 아시아에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현재 한류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그 위상을 당당히 하고 있기에 김구 선생님의 소원은 실현되고 있다

한류의 확산은 연관 산업 성장과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에 기여한다.

국가는 한류의 다양화 및 세계화를 위해 2020, 문화와 경제를 이끄는 신한류(K-culture) 진흥정책을 추친힌다. 케이-컬쳐(K-culture)는 신한류의 영문 명칭 겸 국제 홍보 브랜드이다. 신한류는 다양한 한국 콘텐츠를 세계인의 일상 속에서 향유토록 하고 연관산업 융합을 통해 경제적 파급효과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며, 쌍방향 문화교류를 통해 지속 가능한 한류를 창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신한류로 전 세계 한류의 열기를 이어가기 위해서, 정부는 지난 2한류협력위원회를 출범했다. 6월에는 문체부에 한류지원협력과도 신설해 한류 지원정책의 총괄 기구도 구축했다. 그동안 각 부처와 기관이 분산되어 집행하던 한류 관련 지원정책과 정보들을 한 곳에 모으고 나아갈 방향을 합의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정부는 신한류를 위한 3대 지원 전략으로 한류 콘텐츠의 다양화’, 한류로 연관 산업 견인’, 지속가능한 한류 확산의 토대 형성를 발표했다. 신한류 정책은 한국판 뉴딜 사업 방향과 보조를 맞추어 집행한다.


그러나 한류가 국가의 지나친 간섭이나 개입을 받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예술은 정치에 의해 통제 당할 수도 있다.

한때 우리나라의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영화 기생충 감독인 봉준호가 있기도 했었다. 문화가 정부에 의해 강력한 통제를 받게 되면 문화를 이용한 통제 정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정치가 문화예술을 장악하면 사람들을 선동하고 세뇌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은 역사적으로도 증명된 사실이다. 정부의 문화 예술 간섭은 민간의 창의성과 경쟁력을 억제 시킬 수도 있다.


그래서 이번 정부는 신한류 정책을 발표하며 지원하되 간섭하지않는정책을 펼치기로 하였다. 박양우 문화 체육부 장관은 한류는 세계 문화사에 기록될만한 사건이고, 우리가 문화부문에서도 세계 정상이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해주었다.”라고 평가하며, “그러나 지금 한류는 기로에 서 있으며,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정부의 지혜로운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 민족의 문화예술적 잠재력과 창의력이 세계무대에서 마음껏 발휘될 수 있도록 잘 지원해 세계 문화를 선도하는 신한류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국의 아름다운 전통미. 

현재 한국은 문화 강국으로 나아가고 있는 중이다. 백범 김구 선생님의 꿈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한류는 대중문화에 국한되어 있다. 최근에 한국 대중문화의 대표주자인 아이돌들은 한국 전통 소재를 발려와 뮤직비디오를 찍고 무대에서 춤추고 노래한다그러면서 한국 전통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있다. 신한류 정책과 함께 더 다양한 장르의 한국 문화가 확대되길 기대해 본다.

pc 배너기사보기 2 (우리가 작성한 기사 기사내용 하단부) (898X100)
이한솔 인턴 기자
작성 2020.10.20 13:26 수정 2020.10.20 14:23
<대한민국청소년의회 뉴스>의 모든 저작물은 [저작자표시 URL포함-변경금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