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수 의원, “한국주택금융공사 전세 보증 이용 가능 금액” 확대 해야

- “주금공사시행령상 신용보증한도는 3억 원, 실제 전세 보증 최대한도는 2억 원에 불과

- “주금공 전세 보증 상향으로 무주택 서민층 주거 안정 보장을 위해 나서야

 

한국주택금융공사 전세 보증 이용 가능 금액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유동수 의원(20·21대 인천계양 갑,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20일 국정감사에서 신규 전세 물량 감소로 전세가격 상승세가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무주택 국민의 주거 안정과 주거비 절감을 위해 한국주택금융공사(이하 주금공) 전세 보증 한도를 3억 원으로 상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2018년 임차보증금 보증 취급 요건을 수도권 4억 원에서 5억 원으로, 지방 2억 원에서 3억 원으로 완화한 바 있다. 하지만 갭투자 방지를 위해 1주택자의 전세 대출 보증을 2억 원으로 강화해 전세 보증 임차보증금 요건(수도권 5억 원, 지방 3억 원 이하)을 충족하는 때도 최대 보증이용금액이 제한되어있다.

 

유동수 의원은 전세자금 대출보증 기관별 무주택자 전세자금 보증 최대한도를 비교하면 주금공은 최대 2.2억 원, 주택보증공사 4억 원(수도권 이하 3.2), 서울보증보험 5억 원으로 한국주택금융공사가 가장 낮다수도권 임차인이 이용할 수 있는 대출금액은 2.2억 원(보증금액 2억 원)으로, 임차보증금 5억 원의 44% 수준이며,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세보증금 3.3억 원의 67% 수준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유 의원은 이어 한국주택금융공사시행령상 전세 보증의 동일인당 최대 보증이용 가능 금액이 3억 원까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현행 2억 원에 불과한 보증 한도를 상향을 통해 무주택 국민 주거 안정 보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cg4551@daum.net

한국의정방송TV


최채근 기자
작성 2020.10.20 15:17 수정 2020.10.20 15:18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의정방송TV / 등록기자: 최채근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