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 ‘너무 힘들어요’ 병영생활 어려움 호소

군, 정신건강 진료 4년간 증가 인권관리 시급

정신건강의학과 진단명 1위는 적응 장애

현역 국군 장병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군 인권교육시스템과 전문 상담관 제도에도 적응장애와 우울증등으로 군 병원을 찾는 장병들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국군의무사령부로부에 따르면, 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입원환자는 지난 2016년 총 35507명에서 지난해 적응장애등을 진단받은 경우가 46852건으로 30%이상 증가했다.

 

특히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는 환자들 중 향정신성의약품 처방을 받는 환자의 비중도 계속해서 증가해 군 인권정책에 사각지대가 없는지 종합적인 점검과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로 해당기간 군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환자들에게 가장 빈번하게 내려진 진단명은 바로 적응장애였다.

 

국군의무사 측의 자료에는 지난 2016년 수술용 주사약제 등 군병원 내 전체 진료과의 향정신성의약품 사용량은 638485정에서 지난해 102439정으로 60% 가까이 증가했다.

 

군병원 내 전체 진료건수 중 정신건강의학과에서 향정신성 의약품을 처방한 비중은 58.85%에서 66.39%로 약 7.5% 상승했다.

 

우리 국군 상비병력은 2017618000여 명을 유지하다 올해 555000명으로 감소했지만 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는 증가, 장병들의 인권관리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처럼 우리 군의 정신건강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방부가 장병들의 인권 향상을 위해 추진하는 여러 정책들의 보안이 요구되고 있다.

 

인원개선 시민단체 인권연대 한 관계자는 군에서 적극적인 인권 피해사례를 접수하고, 인권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강좌나 교육프로그램 등 활발한 지원활동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민홍철 국회 국방위원장은 국방부 군 장병 인권 개선 정책의 성과만을 강조하고 있으나, 국군 의무사 측에서 확인된 지표들은 여전히 많은 군 장병들이 군 생활 과정에서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는 있다고 우려했다.

 


장현숙 기자
작성 2020.10.26 10:19 수정 2020.10.26 10:19

RSS피드 기사제공처 : 인천데일리 / 등록기자: 장현숙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