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 침식 우심률 60% 넘었는데 방관

해수부 효과적인 연안 보존 방안 시급

연안침식 현상이 발생하는 경북 포항시 한 해안/제공=해양수산부
김영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병)

바닷가 연안지역이 기후변화로 인하 해수면 상승과 무분별한 바다모래 채취 등으로 침식 현상이 빨라지고 있어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영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병)이 해양수산부의 최근 3년간 연안침식 실태조사자료에는 연안침식 우려 및 심각단계인 해안지역의 연안침식우심률이 201755.2%에서 매년 증가해 201961.2%를 기록했다.

 

해양수산부는 연안침식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2000년 이후 제1, 2차 연안정비기본계획을 수립했다.

 

그러나 총사업비가 실제 추진 및 준공으로 이어진 비율은 절반에도 이르지 못해 사업 계획과 관련 예산 편성의 실효성에 의문이 들고 있다.

 

연안관리법에는 침식 정도가에 대한 특별 관리가 필요한 연안침식관리구역의 경우 2016년까지 6곳을 선정한 후 추가 지정은 없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연안침식의 심각성이 구체적인 통계로 나타나는 상황에서 관련 대책을 추진하는 해양수산부가 그동안 너무 안이하게 대응했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해양수산부가 의지를 갖고 연안정비사업이 기존에 계획된 대로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침식 피해지역 내 지자체 등과의 협력관계 구축 등 연안침식 방지에 앞장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장현숙 기자
작성 2020.10.27 10:52 수정 2020.10.27 10:52

RSS피드 기사제공처 : 인천데일리 / 등록기자: 장현숙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