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급 발암물질 무기비소 분석시스템 구축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독성 물질 무기비소 분석

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식품 내 중금속 총량뿐만 아니라 개별 화합물 성분에 따른 분리·분석이 가능한 HPLC·ICP·MS 장비로 통해 무기비소 함량을 분석하고 있다./제공=경기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오는 11월부터 식품 내 독성 물질(발암물질로)인 무기비소 분석시스템을 본격 활용한다고 29일 밝혔다.

 

무기비소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급 발암물질로 분류, 인체에 섭취하게 되면 폐암, 피부암, 간암 등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식품 중 비소는 대부분 인체에 덜 유해한 유기비소화합물로 포함돼 있으나 쌀, , 모자반 등 일부 식품군에서는 무기비소 화합물이 검출돼 안전관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7년 첫 쌀에 대한 무기비소 기준(0.2mg/kg)을 설정, 지난해에는 해조류(, 모자반)와 쌀이 함유된 기타식품, 특수용도식품도 무기비소 함량 기준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11월부터 활용하는 HPLC·ICP·MS(액체크로마토그래피·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기·질량분석기)는 식품 내 중금속 총량뿐만 아니라 개별 화합물 성분에 따른 분리·분석이 가능하다.

 

이들 장비는 중금속 분석에 앞서 식품 내 성분을 물리·화학적 성질에 따라 종류별로 분리하고 식품 내 비소화합물 역시 유기비소, 무기비소로 분리 후 정량적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기존 장비는 ICP(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기)라는 장비로 모든 중금속의 총량에 대해서만 분석이 가능했다.

 

도 보건환경연구소 오조교 원장은 “11월 중 연구원에서 자체적인 식품안전지킴이 사업을 통해 쌀, 톳 등의 식품에 대한 무기비소 함량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내년 무기비소와 관련된 연구 주제를 설정,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장현숙 기자
작성 2020.10.29 06:06 수정 2020.10.29 06:06

RSS피드 기사제공처 : 인천데일리 / 등록기자: 장현숙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