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윤종인)는 정보보호 유사·중복 부담을 완화하고 정보보호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정보보호(ISMS)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인증 제도 개선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란 정보통신망의 안전성·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운영하고 있는 관리·기술·물리적 보호조치를 포함한 종합적 관리체계를 말한다.
ISMS-P(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란 주요 정보자산 유출 및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기업이 스스로 수립·운영 중인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가 적합한지 인증하는 제도이다.
◇정보보호 사각지대 해소
가상자산 사업자, 중소기업에 특화된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심사체계를 구축하여 정보보호 사각지대를 해소할 예정이다.
그간 가상자산 사업은 금융 서비스 특성이 있지만 사업자의 법적 지위 미비 등 제도적 기반 부재로 정보통신서비스 분야에 적합한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심사항목을 적용하여 인증해왔다.
·두나무, 빗썸코리아, 코빗, 코인원, 스트리미, 플루토스디에스, 뉴링크 등 7개사 인증
특금법* 개정으로 가상자산사업자의 법적지위를 부여하고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획득을 의무화하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것을 계기로 금융위원회(금융보안원)과 협업하여 가상자산에 특화된 점검항목(지갑·암호키, 전산원장 관리, 비인가자 이체탐지 등 56개)을 개발하고 2020년 11월부터 공지하여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심사에 적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2021.3월 시행):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수리요건에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포함
·가상자산사업자 심사 시 ISMS 기존항목(325개) + 가상자산 특화항목(56개)= 381개 점검
그리고 정보보호가 중요한 영세·중소기업도 불필요한 비용 소모 없이 기업 스스로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준비할 수 있도록 ISMS 인증항목절차(102개)를 경량화한 중소기업용 인증체계를 마련하여 인증 비용과 소요기간을 단축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마련 중(11월)
◇중복적 현장점검 최소화
ISMS-P를 중심으로 개인정보 및 정보 보안성은 유지하면서 기업 부담을 경감시키는 방향으로 유사제도를 통합 운영한다.
그동안 ISMS-P 인증범위에 수탁회사(콜센터, 택배회사)의 정보보호 관리체계가 포함되어 위탁회사들이 ISMS-P 인증 심사할 때마다 수탁회사는 반복적으로 현장점검을 받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수탁회사가 ISMS-P 인증을 획득하는 경우 위탁사들의 ISMS-P 인증심사에 부수되는 수탁사의 현장점검을 면제할 예정*이다.
·(예시) 3개의 고객사를 가진 A콜센터: (기존) 3회 ISMS-P 현장점검 → (변경) 1회 ISMS-P 현장점검
*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 관리체계 인증 등에 관한 고시(제20조) 개정
한편 클라우드서비스 보안인증의 경우도 ISMS 인증과 유사 인증항목이 다수 존재하여 ISMS 인증 기업이 클라우드 보안인증 신청 시 인증항목의 54%(117개 항목 → 54개 항목) 심사 생략이 가능하다.
* 클라우드서비스 보안인증 안내서 개정(11월)해 12월부터 시행
◇대학 정보보호 중복부담 해소
교육부가 주관하는 정보보호 수준진단에서 ‘우수(80점)’ 등급을 획득한 대학은 ISMS 인증 의무를 면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정보통신망법령* 개정을 추진한다.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제3조) 개정 입법예고 추진(11월)
ISMS인증 의무(재학생 수 1만명 이상, 44개)를 미이행한 13개 대학 중 10개(조선대, 경북대, 충북대, 전남대, 공주대, 부경대, 경상대, 부산대, 충남대, 서울과기대) 대학이 올해 교육부 정보보호 수준진단에서 ‘우수’등급을 획득하여 ISMS인증이 면제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번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제도개선으로 기업과 대학의 행정 부담을 경감하고 정보보호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관련 제도 개선 및 지원책 마련 등을 통해 기업이나 기관들이 정보보호 활동을 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뉴딜 성공적 뒷받침 위한 정보보호관리체계 제도 개선 추진
작성
2020.11.02 02:24
수정
2020.11.02 02:24
RSS피드 기사제공처 : 미디어유스 / 등록기자: 나모세 인턴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내 코스미안 Domestic Cosmian
서울대공원은 올해 현충일인 6.6일(금) 낮12시경, ...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구불거리는 갯골에소금기 머금은 갯내음이 코를 간질인다 갈대 풀...
기 드 모파상(1850-1893)은 프랑스의 소설가로 에드거 앨런 포, 안톤 체호...
안녕하세요. 강라희입니다. 오늘은 티베트의 수행자 밀라레빠의&...
비자나무 정유를 활용해 항바이러스 및 항천식 효과를 지닌 기능성 향료 조성물을 ...
1. 시조의 종결, 전통은 마침표가 아니었다 당신은 시조를 읽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