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원격수업과 대면수업을 병행중인 초등학교에서 '돌봄교실'의 운영을 놓고 학교내 갈등이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현재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며 돌봄교실의 수요가 늘어났는데 이 돌봄업무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느냐, 현행대로 학교(교육부)가 주관하느냐를 두고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돌봄전담사들은 "지자체가 돌봄교실을 맡게 될 경우 사실상 민간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라며 "지자체 예산에 따라 돌봄교실 환경이 차이가 나고 돌봄교실의 환경이 열악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초등 돌봄교실 비정규직 노동자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는 4일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정기총회가 열린 청주 그랜드 프라자 호텔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근본 문제는 회피하고 돌봄전담사와 교사 부담만을 강요하는 정부와 교육당국은 당장 돌봄전담사의 처우개선 대책을 마련하고 지자체 이관 시도를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학비연대측은 정부의 '초등돌봄 운영 개선 협의회' 를 구성하자는 제안에도 불구하고 6일 총파업을 그대로 진행하겠다고 선포했다.
학비연대에 따르면 6일 파업에는 전국 돌봄 전담사 1만 3천여명의 절반인 6500~7000명 정도가 참여한다. 파업을 예고한 후에도 정부가 협의체 구성을 미루다가 이제야 실시하는 것은 구색맞추기에 명분 쌓기로만 보인다며 예정된 파업을 강행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총파업이 예정대로 행해진다면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는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져 결국 피해가 학생과 학부모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A씨는 "아이가 4교시 하교 뒤에 돌봄교실이 아니면 갈 데가 없다"며 "회사에 하루 휴가를 낼 수 있을지 아직 모르겠어 마음이 조마조마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