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활동가로서의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서울시의 ‘시민사회 디딜자리 100 프로젝트’가 경력단절여성, 5060 시니어 등 일자리 취약계층 인생2막에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
‘시민사회 디딜자리 100프로젝트’는 공익활동단체 등에서 공익활동가로 일하고 싶은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에게 일 경험을 제공해 향후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 서울형 뉴딜일자리 사업이다.
‘디딜자리 100 프로젝트’에 참여해 활동 중인 예비 공익활동가 총 96명 중 경력단절여성(32명), 5060 시니어(28명)는 약 62.5%를 차지하고 있다. 임신과 육아 때문에 퇴사해 경력이 단절되거나 코로나 19로 인해 실직한 4050 여성들에게 커리어가 되는 양질의 일자리를 지원,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디딤돌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동구에 사는 김윤자 씨(47)는 13년의 경력단절을 딛고 현재 NPO단체 ‘행복누리 사회적협동조합’에서 활동지원보조원으로 일하고 있다. 과거 무역회사에서 근무했던 김 씨는 임신 후 퇴사해 일자리를 찾지 못하다가 ‘디딜자리 프로젝트’에 참여한 케이스다.
한부모 여성 가장인 이연지 씨(46·가명)는 코로나 19로 인해 실직한 후 9개월 만에 취업에 성공했다. 생태 관련 일을 했던 이씨는 자신의 경력을 살린 일자리 매칭을 통해 동종 업체에서 홍보업무를 맡고 있다. 그동안 실직으로 인해 공과금·양육비 등 기본생활비도 충당하기 힘들었던 이씨에게 디딜자리 프로젝트는 다시 미래를 꿈꿀 수 있는 희망이 되고 있다.
디딜자리 프로젝트는 인생 이모작을 준비하는 5060 시니어들에게도 새로운 일자리를 이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자신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환원하고 자아실현도 하며 보람과 기쁨을 동시에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디딜자리 프로젝트를 통해 ‘광진 50플러스’에서 근무하고 있는 이모 씨(65)는 비슷한 연령대인 50대 이상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제도적·사회적 기반을 구축하며 큰 보람을 느끼고 있다. 이 씨는 “활동을 통해 공익활동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며 “프로젝트가 끝나도 사회적인 활동을 이어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참여자 중 최고령자인 신용한 씨(67)는 “디딜자리 프로젝트는 금전적인 목적도 있지만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 시킨다”며 “대기업·공공기관에서 쌓아온 역량을 사회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자 우수인력을 사회에 환원하는 기능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시니어를 활용하는 모습을 통해 노인에 대한 사회인식도 바뀔 것 같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민간보조사업자로 사업 수행 중인 소셜밸런스 이수랑 실장은 “서울시가 ‘디딜자리 프로젝트’를 통해 경력단절여성과 시니어들에게 공익활동가의 길을 열어줬다. 이분들을 통해 시민사회단체가 더욱 더 따뜻해지고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서문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