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는 조 시장이 아이스팩 대책을 역점 추진하고 있지만 지방정부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 지난 6일 문 대통령에게 서한문을 보냈다고 9일 밝혔다.
"국가 차원의 아이스팩 재활용 대책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조 시장은 3일에도 같은 내용의 글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린 적이 있었다. 청원 게시글에서 조 시장은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아이스팩 일일 사용량이 3억2,000개로 추정되는데, 아이스팩은 매립 시 자연 분해에 500년이 걸리고, 불에 타지 않아 소각도 불가능하다"며 "주성분인 고흡수성 수지는 미세플라스틱 일종으로, 하수 배출 시 심각한 수질오염을 일으켜 향후 환경위기로 되돌아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남양주시를 포함한 일부 지자체와 기업이 사용한 아이스팩을 수거 후 세척·소독해 재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며 "그러나 규격과 포장재 등이 통일되지 않아 재사용 참여율은 미미한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조 시장은 "지난 7월 환경부가 아이스팩 성분을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기 위해 고흡수성수지를 냉매제로 사용하는 생산업체에 대해 2023년부터 폐기물부담금을 부과하는 법령 개정에 착수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설명하며 아이스팩 표준 규격화와 공용화, 포장재 내구성 강화 및 친환경 소재 사용 의무화, 재사용 총량제 법제화 등 4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제품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 대·중·소 등 아이스팩 표준 규격화를 법령으로 의무화하고 포장재에 업체명 기재를 금지해 소주 공병처럼 공용화하자는 내용이다. 환경부 권고가 아닌 법령으로 아이스팩 포장재 재질과 소재를 정하고 아이스팩 생산·공급 업체가 일정 비율을 재사용하도록 법제화하는 방법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