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연재] 역사자료로 보는 난중일기

1592년 3월 24일(음력)

이순신 씀 / 윤헌식 주해

사진=코스미안뉴스


1592년 3월

24(갑신) 나라의 제삿날1)이라 업무를 보지 않았다. 우후 [이몽구]가 수색을 마치고 무사히 돌아왔다. 순찰사 [이광]과 도사2)의 답장을 [군관] 송희립3)이 함께 가지고 왔다. 순찰사의 편지 내용 중에 영남방백4)이 보낸 편지에 대마도주의 서계5)일찍이 배 1척을 내보냈는데 만약 아직 귀국에 도착하지 않았다면 틀림없이 바람에 부서졌을 것이다.라고 하였다.’고 하니 그 말이 지극히 흉악한 거짓이다. 동래에서 서로 바라보이는 바다이므로 절대로 그럴 리가 없는데도 이처럼 말을 꾸며대니 그 거짓됨을 헤아리기 어렵다.”고 하였다.

[]

1) 세종 비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제삿날이다.

2) 관찰사의 보좌관 역할을 하던 종5품 벼슬로서 실무와 감찰 등을 담당하고, 관찰사와 함께 수령들의 근무성적을 평가하였으며, 관찰사 유고 시에는 그 직임을 대행하기도 하였다.101 당시의 전라도사는 최철견(崔鐵堅)으로서, 그의 자는 응구(應久), 본관은 전주(全州), 생몰년은 1548~1618년이다.

3) 송희립(宋希立)의 자는 신중(信仲), 본관은 여산(礪山), 생몰년은 1553~1623년이며, 옥포해전, 당포해전, 노량해전 등에 참전하였다. 난중일기에는 그의 형 송대립과 동생 송정립의 이름도 보인다.

4) 원문 方伯한 지방의 가장 높은 사람이란 뜻으로서 관찰사의 별칭이다. 당시의 경상관찰사는 김수(金晬)로서, 자는 자앙(子昻), 본관은 안동(安東), 생몰년은 1547~1615년이다.

5) 일본과 주고받던 공식 외교문서를 말한다. 막부의 장군과 주고받은 문서는 국서(國書), 막부의 관리들이나 대마도주와 주고받은 문서는 서계(書契)로 표기하였다. 당시의 대마도주는 소 요시토시(宗義智)로서 우리나라에는 주로 종의지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원문] 二十四日甲申 以國忌不坐 虞候搜討 無事還來 廵使都事答簡 宋希立並持來 廵使簡中 嶺南方伯致簡曰 島主書契 曾有一船出送 而若未到貴國 則必爲風所敗云 其言極凶詐 東萊相望之海 萬無如是之理 而作辭如此 其爲譎詐難測云  


전명희 기자
작성 2021.05.05 11:04 수정 2021.05.05 11:1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