桂亭詩 계정시

이은춘

사진=코스미안뉴스


桂亭詩 계정시

 

團團一桂爲斯亭  단단일계위사정

川石居然自作庭  천석거연자작정

堂下槐三陰㭗㭗  당하괴삼음울울

門前柳五色靑靑  문전류오색청청

 

六宜崗竹皆相助  육의강죽개상조

七里滁山獨不醒  칠리저산독불성

驪背載樽何處往  여배재준하처왕

好音黃鳥有時聽  호음황조유시청

 

계정

 

둥근 계수나무가 이 정자 되었구나.

살다보니 물과 돌이 자연히 뜰이 되었네.

집 아래 홰나무 세 그루는 그늘이 우거지고

문 앞의 다섯 버드나무는 푸르고 푸르도다.

 

육의산의 대나무가 모두 서로 도와주고

칠리재의 저 산만이 홀로 깨지 아니하네.

나귀 등에 술을 싣고 어느 곳에 가버렸나.

꾀꼬리 좋은 노래 때가 되면 들리리라.

 

 

[이은춘]

해산 이은춘은 18811219일 경남 창원군 구산면 마전리에서 아버지 이영하, 어머니 정귀선의 제6남으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창원군 진북면 정삼리에 있었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청년시절에는 한강 정구의 후학으로 성리학을 공부하면서 교동향교에서 가운 허정덕, 화산 임재식 등과 함께 지역유림으로 활동하였다.

 

경남 일대의 수많은 재실과 정자, 사당에 상량문이나 현판 또는 기문으로 그의 족적이 남아 있다. 1966년 음력 117일에 생을 마감한 해산 이은춘은 근대 경남 지역의 대표적 유생이다. 이 시는 계정이라는 정자를 노래한 시다.

 

그는 세상을 마감하는 날 아침에 속을 깨끗이 비우러 화장실을 다녀와서 장손 이용효에게 "나 오늘 오후에 간다"고 말한 후, 그날 오후에 아들 딸들이 다 모인 자리에서 "사이 좋게 잘 살아라"는 유언을 남기고 86세를 일기로 선승처럼 세상을 떠났다. 발인 날짜와 시간, 장지 묘소의 좌향까지 증손 이봉수에게 미리 알려주고 운명했다.

 

 

 

 

 

 

 


전명희 기자
작성 2021.08.01 11:47 수정 2021.08.01 12:2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5월 1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4월 30일
대청의 그거 왜 해?
광주루프탑카페 숲안에 문화복합공간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우산동카페 #광주..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