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의 문화재는“훈민정음 이윤탁 한글영비·말모이 원고”

역사에 대한 관심을 높여 ‘2천년 역사도시 서울’ 가치 확산

사진=서울시/이윤탁 한글영비 보물 (2007.09.18.)


어느 때보다 세계적으로 한류와 함께 한글이 주목받고 있는 요즘, 575돌 한글날을 맞아 우리의 자랑스러운 글자 한글의 소중함을 되새겨보고자 10월의 서울문화재로 훈민정음의 한문해설서인 훈민정음’, 우리나라 묘비 중 한글을 쓴 최초의 묘비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우리나라 최초의 사전을 만들기 위해 작성한 말모이 원고를 선정하였다.

 

1. 훈민정음(국보 1962.12.20. 지정)

우리나라 국보이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훈민정음1446년에 반포된 우리글 훈민정음의 한문해설서이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훈민정음 해례본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부르는데 우리에게는 별칭인 훈민정음 해례본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해례는 풀어서 해설하고, 그 예를 들어 설명한다는 뜻으로 훈민정음은 우리글 훈민정음을 해설하고 예를 들어 기록한 책이다.

 

훈민정음에는 훈민정음의 창제목적, 이유 등도 기록되어 있는데 이 책으로 한글이 왜,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알 수 있게 되었고, 백성을 위해 한글을 만든 세종의 애민정신을 느낄 수 있다. 500년 가까이 자취를 감추었던 훈민정음1940년 경북 안동에서 발견되었는데 그 소문을 들은 고() 간송 전형필이 당시 10,000(서울 기와집 10채 가격)을 주고 구입하여 세상에 알려졌고, 현재 간송미술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2.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보물 2007.09.18. 지정)

2007년 보물로 지정된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는 노원구에 위치한 문화재로, 한글이 쓰인 우리나라 최초의 묘비로 알려져 있다. 이 비석은 이문건(조선 명종 때의 문신, 1494~1567)1536년에 아버지 이윤탁의 묘를 어머니의 묘와 합장하며 세운 묘비로, 비석 왼쪽 면에 신령한 비다. 쓰러뜨리는 사람은 화를 입을 것이다. 이를 한문을 모르는 사람에게 알리노라라는 뜻의 경고문이 한글로 적혀있다.

 

한글이 창제되었지만 묘비에 한글을 적는 일이 매우 드물었던 당시, 한글 경고문을 작성한 것을 보면 많은 사람이 글을 읽고 비와 묘역을 훼손하지 않기를 바라는 효심을 엿볼 수 있고, 이를 통해 당시 한글을 아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는 것도 함께 알 수 있다.

 

3. 말모이 원고(보물 2020.12.22. 지정)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사전인 말모이의 출간하기 위해 작성한 원고인 말모이 원고2020년에 보물로 지정되어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조선광문회가 주관하고 한글학자 주시경과 그의 제자 김두봉, 이규영, 권덕규가 참여하여 만든 말모이 원고1911년부터 1914년까지 집필이 이루어졌다.

 

말모이말을 모아 만든 것이라는 의미로 사전을 뜻하는 순우리말로 본래 여러 책으로 구성되었을 것을 추정되지만 현재는 부터 걀죽까지 올림말(표제어)이 수록된 1책만 전해지고 있다. ‘말모이 원고는 한글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었던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말과 글을 지키려 한 노력의 산물로, 현존 근대 국어사 자료 중에 유일하게 사전출판을 위해 남은 최종 원고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있다.

 

이희숙 서울시 역사문화재과장은 “10월의 서울문화재는 한글날을 기념하여 자랑스러운 우리글인 한글과 관련된 문화재로 선정하였다, “이번에 선정된 문화재를 통해 한글의 우수함과 위대함을 다시한번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10.15 09:27 수정 2021.10.15 10:4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누구냐, 넌
2025년 7월 3일
2025년 7월 3일
2025년 7월 2일
2025년 7월 2일
2025년 7월 1일
2025년 7월 1일
장백산양꼬치데이 50%한정할인 월요일화요일 감사합니다 #장백산양꼬치데이
그 도시에 문화예술 수준을 높이는 학원이 되어야 한다#음악학원운영 #김선..
[ESN 쇼츠뉴스] 2025 인천국제민속영화제 성료! ‘로미오와 줄리엣’..
[ESN쇼츠뉴스 영화]박철현 감독·김명국 배우IIFF2025 레드카펫 빛..
[자유발언] 청소년 자치활동의 진정한 의미
2025년 7월 1일
2025년 6월 30일
2025년 6월 30일
2025년 6월 30일
당신 학원에는 ‘이야기’가 있는가?#김선용 #음악학원운영 #학원철학 #..
2025년 6월 29일
2025년 6월 28일
2025년 6월 28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