暮秋吟 모추음
日漸短又夜漸長 일점단우야점장
已過秋夕又重陽 이과추석우중양
坪郊上下稻成實 평교상하도성실
籬落東西菊有芳 이락동서국유방
一世白頭由歲月 일세백두유세월
萬山紅葉染風霜 만산홍엽염풍상
看看復看前溪水 간간부간전계수
入海千年自作溏 입해천년자작당
저무는 가을에
낮은 짧아지고 밤은 점차 길어져
추석은 이미 지나고 다시 중양절일세.
들판은 아래위로 나락이 여물었고
울타리 여기저기 떨어진 국화꽃 향기
한 세상 흰 머리는 세월 때문이고
만산의 단풍잎은 풍상에 물들었네.
보고 또다시 보아도 앞 시내 흐르는 물은
천년을 바다로 흘러 스스로 못이 되었구나.
[이은춘]
해산 이은춘은 1881년 12월 19일 경남 창원군 구산면 마전리에서 아버지 이영하, 어머니 정귀선의 제6남으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창원군 진북면 정삼리에 있었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청년시절에는 한강 정구의 후학으로 성리학을 공부하면서 교동향교에서 가운 허정덕, 화산 임재식 등과 함께 지역유림으로 활동하였다.
경남 일대의 수많은 재실과 정자, 사당에 상량문이나 현판 또는 기문으로 그의 족적이 남아 있다. 1966년 음력 11월 7일에 생을 마감한 해산 이은춘은 근대 경남 지역의 대표적 유생이다.
그는 세상을 마감하는 날 아침에 속을 깨끗이 비우러 화장실을 다녀와서 장손 이용효에게 "나 오늘 오후에 간다"고 말한 후, 그날 오후에 손녀들이 다 모인 자리에서 "사이 좋게 잘 살아라"는 유언을 남기고 86세를 일기로 선승처럼 세상을 떠났다. 발인 날짜와 시간, 장지 묘소의 좌향까지 증손 이봉수에게 미리 알려주고 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