雨中冬夜吟 우중동야음
霏霏凍雨下齊齊 비비동우하제제
秋後初聞水漲溪 추후초문수창계
蕭瑟寒風來自北 소슬한풍내자북
蒼茫明月去傾西 창망명월거경서
嗟吾衰世頻經夢 차오쇠세빈경몽
憐甫兒孫坐讀書 연보아손좌독서
牕外遲遲晨不聞 창외지지신불문
山東何處野鶴嚌 산동하처야학제
비오는 겨울밤에
부슬부슬 겨울비가 가지런히 내리는데
가을 지나고 처음 듣는 개울물 소리
쓸쓸한 찬바람은 북쪽에서 내려오고
창망한 밝은 달은 서쪽으로 기우는구나.
슬픈 나의 늙은 세상 꿈에 자주 지나치고
사랑스런 손자들은 앉아서 글을 읽네.
창밖에는 더디게도 새벽닭 소리 들리지 않으니
산동의 어느 곳에 야생 학이 울겠는가.
[이은춘]
해산 이은춘은 1881년 12월 19일 경남 창원군 구산면 마전리에서 아버지 이영하, 어머니 정귀선의 제6남으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창원군 진북면 정삼리에 있었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청년시절에는 한강 정구의 후학으로 성리학을 공부하면서 교동향교에서 가운 허정덕, 화산 임재식 등과 함께 지역유림으로 활동하였다.
경남 일대의 수많은 재실과 정자, 사당에 상량문이나 현판 또는 기문으로 그의 족적이 남아 있다. 1966년 음력 11월 7일에 생을 마감한 해산 이은춘은 근대 경남 지역의 대표적 유생이다.
그는 세상을 마감하는 날 아침에 속을 깨끗이 비우러 화장실을 다녀와서 장손 이용효에게 "나 오늘 오후에 간다"고 말한 후, 그날 오후에 손녀들이 다 모인 자리에서 "사이 좋게 잘 살아라"는 유언을 남기고 86세를 일기로 선승처럼 세상을 떠났다. 발인 날짜와 시간, 장지 묘소의 좌향까지 증손 이봉수에게 미리 알려주고 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