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정개특위 연장과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등 선거제 개혁의 기본방향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여야5당이 기본방향에 합의하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윤호중 민주당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에서 “민주당은 선거제도 개혁에 대한 입장을 결정했다”며 “정개특위 활동시한을 연장하고 2019년 1월 중 특위 내 선거제도 개혁안에 합의하며 이를 2월 임시국회에서 최종 의결하도록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 총장은 또 “여야 5당의 합의를 위해서는 특히 자유한국당의 입장변화가 필요하다”며 “새로 구성된 한꾸당 원내지도부와 적극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선거제도는 권력 구조와 같이 논의해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연동형 비례대표제 같은 경우에는 의원정수 확대 없이는 이뤄지기 어려워 국민 정서가 공감해주실 수 있는지 모르겠다. 전체적으로 부정적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당장 연동형 비례대표제 문제를 생각하는 것보다는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활동 시한 등의 부분부터 살펴보는 게 맞다"고 덧붙였다.
이와관련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오늘 ‘김어준의 뉴스공장’과 인터뷰에서
“12월 말까지 선거제도가 개혁될 수 있다는 확실한 보증이 있어야 하고 그 핵심은 거대 양당 사이에 선거제도 개혁에 대한 큰 틀의 합의를 가져오는 것”이라며 “거대 양당의 이해관계가 가장 크게 걸려있는 지역구 의석수를 어떻게 할 것이냐에 대해 타결이 있어야 정개특위에서 세부적으로 조정해 갈 것인지 논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