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기자: 전명희 [기자에게 문의하기] /
2021년 12월 6일자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전문가 에세이] '고슴도치 환자' 필자 천양곡 정신과 전문의는
"일반적으로 의심이 많고 자폐성향이 강한 사람을 고슴도치 같다고 한다. 누굴 믿거나 애정을 주고 받지 못한다. 혹시 누군가가 자기를 해칠까 신경을 곤두세운다. 더구나 부모의 이혼, 죽음, 심한 신체적 정서적 상처를 경험하면 타인과 거리를 두고 자신이 만든 덫 속에 빠져 산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고슴도치 신드롬이라 부른다"며 "먼저 환자에게 자기가 누구인가를 알게 해 주면 자기에 대한 믿음, 나아가 세상에 대한 믿음이 생긴다. 여기에 초월적 존재인 절대자로부터 영적 성장을 배우면 세상 살기가 편해질 듯싶다"고 칼럼 글을 맺고 있다.
"은퇴를 두어 달 남겨둔 어느 날 젊은 남성이 중년부인 손에 이끌려 오피스로 들어왔다. 남성은 흥분된 상태로 이 말 저 말을 하고, 말도 너무 빨라 알아듣기 힘들었다. 대기실에서 유행가를 부르며 춤을 추는 등 시끄럽게 굴어 옆의 환자들이 조용히 하라고 하자 싸움을 할 듯한 기세였다. 남성은 마약을 복용했거나 양극성 장애의 조증 상태로 보였다.
아들이 술이나 마약에 손댄 일은 없으나 몇 년 전 양극성 장애 진단을 받았다는 어머니의 말이다. 양극성 장애 약을 먹을 땐 직장 일도 잘하고 여자 친구와도 잘 지냈는데, 약 부작용 때문에 약을 끊고 몇 달 지나면 다시 증상들이 나타나 입원치료를 받곤 했다. 그러던 중 자신에게 잘 맞는 약을 찾았다. 클로노핀(Klonopin, 제네릭 명 Clonazepam)이다. 아들은 딴 치료 약물들은 거절하고 오로지 클로노핀만 고집했다. 클로노핀으로 증상이 조절되어왔던 것이다.
클로노핀은 불안증세, 공황증세를 치료하는 진정제로 약물의 절반이 몸속에서 없어지는 시간이 길다. 보통 복용 후 1시간 이내에 효과를 느끼고, 효력이 지속되는 시간 또한 길다. 참고로 재넥스(Xanax-Alprazolam)와 아티반(Ativan-Lorazepam)은 짧은 하프 라이프 진정제로 효과가 30분 이내에 나타나고 몸속에 유지하는 기간이 짧다.
지금은 재낵스 남용이 많아 의사들이 클로노핀을 흔히 처방하지만 이 역시 장기 복용하면 의학적(내성, 의존성, 중독), 사회적(남용, 범죄) 부작용을 야기한다. 진정제는 매일 복용이 아니라 필요할 때만 사용하며, 한 달 이상 계속 먹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임상에서 그렇게 하기가 어렵다. 효과가 너무 좋아 환자들이 약을 끊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앞의 젊은 남성은 증세가 심해 단기간 입원치료를 권했으나 환자가 거부했다. 클로노핀만 처방해주면 증세가 좋아질 거라 장담했다. 강제입원 대상이 아니라서 일주일분 약을 주며 환자에게 복용 3일 후 전화로 상태를 알리고 일주 뒤에 다시 오라 일렀다. 환자의 상태는 약 복용 후 거의 정상으로 돌아왔다. 그는 대화 중 “어머니가 저보고 고슴도치래요, 정말 그래요?” 하고 물었다.
고슴도치는 두더지 과에 속하는 포유동물로 주로 밤에 활동해서 사람 눈에 쉽게 띄지 않지만 희귀 동물은 아니다. 먹거리가 있는 쓰레기 통 근방에서 가끔 만날 수 있다. 고슴도치의 가시는 사실 털이다. 먹고 먹히는 동물 세계에서 생존하기 위해 털이 아주 강하고 뾰족하게 진화했다. 고슴도치는 추위에 약해 서로 몸을 기대어 보온이 필요한데 너무 가까이 하면 털에 찔려서 일정 거리를 유지한다.
환자는 어려서 아버지가 집을 나간 뒤 어머니 손에 자랐다. 어머니는 일종의 죄의식 때문에 아들이 원하는 것을 거의 모두 들어주었고, 그러다 외롭고 지친 나머지 알코올 중독자가 되었다. 환자는 겉으로는 버릇없고 자기만 생각하는 망나니처럼 보였으나 속으론 항상 두렵고 불안하고 의심이 많고 매사에 자신이 없었다. 조증상태가 오면 정반대의 성격이 나타나곤 했다. 일반적으로 의심이 많고 자폐성향이 강한 사람을 고슴도치 같다고 한다. 누굴 믿거나 애정을 주고 받지 못한다. 혹시 누군가가 자기를 해칠까 신경을 곤두세운다. 더구나 부모의 이혼, 죽음, 심한 신체적 정서적 상처를 경험하면 타인과 거리를 두고 자신이 만든 덫 속에 빠져 산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고슴도치 신드롬이라 부른다.
이런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약물치료와 카운슬링 즉 상담치료다. 앞의 환자는 첫째, 타인과 친해지고 싶고, 둘째, 나쁜 아버지와 연약한 어머니 때문에 자신이 희생자란 생각을 멈추고 싶고, 셋째, 행복하게 살고 싶다고 했다. 상담자는 조언능력과 공감능력을 갖추어야한다. 이를 바탕으로 대화를 통해 환자에게 믿음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 믿음은 생후 세 살 이내에 형성되며 믿음의 근간은 애착관계다. 먼저 환자에게 자기가 누구인가를 알게 해 주면 자기에 대한 믿음, 나아가 세상에 대한 믿음이 생긴다. 여기에 초월적 존재인 절대자로부터 영적 성장을 배우면 세상 살기가 편해질 듯싶다."
<천양곡 정신과 전문의>
이같은 처방은 '고슴도치 환자'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적절하지 않을까.
'자기가 누구인가'라는 각자의 우주적 정체성을 깨닫고 대우주의 축소본이 '나 '자신임을 자각하게 될 때 자동적으로 '초월적 존재인 절대자로부터 영적 성장'을 얻게 되는 것이리라.
우리말로 고슴도치는 영어로는 hedgehog이라 하고, 이와 비슷해 혼동되는 호저는 영어로 porcupine이라 하는데 이 둘의 영어 정의는 이렇다.
A hedgehog is a small brown animal with sharp spikes covering it's back.
A porcupine is an animal with many long, thin, sharp spikes on its back that stick out as protection when it is attacked.
[출처: I-class 즐거운 영어 아이클래스]
고슴도치든 호저든 인간이든 진정한 '자기가 누구이고 무엇인가'를 알게되는 순간 우리의 체모가 변형되어 생긴 가시들이 나래로 변해 모두 민들레 홀씨(dandelion spore)처럼 날아갈 수 있으리라.
자, 이제, 지난해 2020년 7월 30일자 코스미안뉴스에 올린 우생의 칼럼 글 우리 재음미해보자.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별똥별 성신(星神/身) 코스미안이다'
소녀상 앞에서 일본 아베 총리가 무릎 꿇고 사죄하는 조형물을 강원도 민간 식물원에서 곧 공개한다는데, 조형물의 이름은 ‘영원한 속죄,’ 그 작명은 소설가 조정래가 했다고 한다.
문득 흑인 노예 후손인 미셀 오바마(Michelle Obama)의 말이 떠오른다.
“저들이(상대가) 저질(低質)스럽게 저품격(低品格)일 때 우리는 고질(高質)스럽게 고품격(高品格)을 지니리라.”
“When they go low, we go high.”
코로나 팬데믹으로 벌써 4개월 넘게 격리된 시간이 이어지면서 ‘평범한 일상’ 이 실종된 데다 코로나19가 다시 급격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어, 우울증이나 불안증을 보이는 일명 ‘코로나 블루 (Coronavirus Blues or Clinical Depression)’를 앓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는 보도다.
‘스트레스(stress)’라는 용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시절 비엔나 출생의 캐나다 내분비학자(endocrinologist) 한스 셀레(Hans Selye 1907-1982)가 1936년 스트레스 학설을 제창, 처음으로 만들어 쓰기 시작했는데, 그는 이 ‘스트레스’를 “어떤 변화를 필요로 하는 상황과 사태에 대응하는 우리 몸 신체의 특이 사항 없는 비특정 반작용 (the non-specific response of the body to any demand for change)’이라고 정의했다.
이 증후군은 전반적으로 개체가 그 자신을 새로운 상태에 적응시키려는 일반화된 노력을 나타낸 것처럼 보이므로 ‘일반적응증후군’으로 불리기도 한다.(Since the syndrome as a whole seems to represent a generalized effort of the organism to adapt itself to new conditions, it might be termed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그 이후로 수많은 연구 조사 결과로 밝혀진 최상의 의학적인 스트레스 해소법은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사물이나 사람에게 공(共)히 ‘감사하는 것(appreciation and gratitude)’이라고 할 수 있으리라.
내가 청소년 시절 탐독한 책으로 일본인 쿠라다 하쿠조(倉田百三 1891-1948)가 사랑에 대해서 쓴 짧은 글을 모아서 펴낸 '사랑과 인식의 출발’이 있다. 일본에서는 1921년 출간되었고, 한국에서는 종로서관에서 1954년과 1961년 펴낸 것을 1963년 종로서관 판에서와 마찬가지로 같은 김봉영 역자의 옮김으로 창원사에서 펴냈다.
이 ‘사랑과 인식의 출발’에서 저자 쿠라다 하쿠조는 사랑이라는 추상적인 감정을 어떻게 인식의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가에 대해 이렇게 한 문장으로 ‘사랑’을 적시(摘示)한다.
“남의 운명을 자기 일처럼 생각하여 이를 두려워하고, 이를 축복하고, 이를 지키는 마음을 말하는 것이다.”
내가 이해하기로는 이것이 바로 모든 사물과 사람의 진정한 가치를 인식(認識)하고 무한한 감사의 정(情) 곧 사랑을 느끼는 일이리라.
현재 코로나 때문에 ‘평범한 일상’에서 할 수 있던 일들을 못하게 되어 답답하고 무료하기도 하겠지만, 그래서 전에 생각도 상상도 못 하던 새로운 일들을 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이 보일 수도 있지 않겠는가 말이다.
그 누군가를 또는 그 무엇인가를 미워하고 원망하고 저주할 때 생긴다는 암을 치료하고 통증을 해소하는 호르몬 ‘엔도르핀 (endorphins)’의 4,000배 효과가 있다는 ‘다이돌핀(didorphin)은 그 누군가를 또는 그 무엇인가를 사랑하고 좋아하며 감사하거나 기뻐할 때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된다고 하지 않나.
우리 칼릴 지브란(Kahlil Gibran 1883-1931)이 ‘예언자(The Prophet, 1923)’에서 하는 말도 되새겨 보자.
슬픔이 그 탈을 벗으면
다름 아닌 기쁨이리오.
슬픔이 파고들면 들수록
더 많은 기쁨이 고이리오.
술잔은 불에 구워진 것.
피리는 칼에 깎여진 것.
기쁠 때 깊이 생각하면
지금 기쁨을 주는 것이
일찍 슬픔을 주었던 것.
슬플 때 슬피 살펴보면
한때 즐거움이었던 일.
참으로는 기쁨과 슬픔
둘이 아니고 하나리오.”
Your joy is your sorrow unmasked.
And the selfsame well from which
your laughter rises was oftentimes
filled with your tears.
And how else can it be?
The deeper that sorrow carves into uyour being, the more joy you can contain.
Is not the cup that holds your wine the very cup that was burned in the potter’s oven?
And is not the lute that soothes your spirit, the very wood that was hollowed with knives?
When you are joyous, look deep into your heart and you shall find it is only that which has given you sorrow that is giving you joy.
When you are sorrowful look again in your heart, and you shall see that in truth you are weeping for that which has been your delight.
Some of you say,
“Joy is greater than sorrow,”
and others say,
“Nay, sorrow is the greater.”
I say unto you,
they are inseparable.
Together they come,
and when one sits alone
with you at your board,
remember that the other
is asleep upon your bed.
Verily you are suspended like scales between your sorrow and your joy.
Only when you are empty are you at standstill and balanced.
When the treasure-keeper lifts you to weigh his gold and his silver, needs must your joy or your sorrow rise or fall.
깨달음 싸고 있는 껍질
그 껍질 벗겨지는 것이
괴로움이라고 한다면
그 아픔 견뎌야 할 일.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철 따라 찾아 오듯이
우리 가슴 속 계절도
반겨 맞을 일이리오.
뿌린 대로 거둬들임
모든 것을 바로잡는
보람 있는 일이리오.
Your pain is the breaking of the shell that encloses your understanding.
Even as the stone of the fruit must break, that its heart may stand in the sun, so must you know pain.
And could you keep your heart in wonder at the daily miracles of your life, your pain would not seem less wondrous than your joy;
And you would accept the seasons of your heart, even as you have always accepted the seasons that pass over your fields.
And you would watch with serenity through the winters of your grief.
Much of your pain is self-chosen.
It is the bitter potion by which
the physician within you heals your sick self.
Therefore trust the physician,
and drink his remedy in silence and tranquility:
For the hand, though heavy and hard, is guided by the tender hand of the Unseen,
And the cup he brings, though it burns your lips, has been fashioned of the clay which the Potter has moistened with His own sacred tears.
다른 사람에게 하는 짓
바로 자신에게 하는 짓.
죄와 벌을 안다는 것이
바로 사람 되는 것이리.
어떤 성자나 의인이라도
우리 모두의 사람됨보다
조금도 더 나을 것 없고
세상의 어떤 죄인이라도
우리 모두의 사람됨보다
조금도 못하지 않으리니.
나뭇잎 그 어느 하나도
나무 모르게 저 혼자서
단풍 들고 떨어지거나
죄를 짓는 어떤 죄인도
우리 모두의 잘못 없이
어떤 죄도 짓지 못하리.
길 가다 어느 누가 넘어지면
따라 오는 모든 사람들에게
발부리에 걸리는 돌 있다고
조심하라 알려 주는 것이리.
목숨을 빼앗기는 사람도
재산을 도둑맞는 사람도
죽음과 도난당하는 일에
의인도 죄인의 죄 지음에
아무 책임이 없지 않으리.
죄인이야말로 피해자로서
죄없는 사람들을 대신해
죄 짓고 벌 받는 것이리오.
It is when your spirit goes wandering upon the wind,
That you, alone and unguarded, commit a wrong unto others and therefore unto yourself.
And for that wrong committed must you knock and wait a while unheeded at the gate of the blessed.
Like the ocean is your god-self;
It remains for ever undefiled.
And like the ether it lifts but the winged.
Even like the sun is your god-self;
It knows not the ways of the mole
nor seeks it the holes of the serpent.
But your god-self dwells not alone in your being.
Much in you is still man, and much in you is not yet man,
But a shapeless pigmy that walks asleep in the mist searching for its own awakening.
And of the man in you would I now speak.
For it is he and not your god-self nor the pigmy in the mist, that knows crime and the punishment of crime.
Oftentimes have I heard you speak of one who commits a wrong as though he were not one of you, but a stranger unto you and an intruder upon your world.
But I say that even as the holy and the righteous cannot rise beyond the highest which is in each one of you,
So the wicked and the weak
cannot fall lower than the lowest which is in you also.
And as a single leaf turns not yellow but with the silent knowledge of the whole tree,
So the wrong-doer cannot do wrong without the hidden will of you all.
Like a procession you walk
together toward your god-self.
You are the way and the wayfarers.
And when one of you falls down
he falls for those behind him, a caution against the stumbling stone.
Ay, and he falls for those ahead of him, who though faster and surer of foot, yet removed not the stumbling stone.
And this also, though the word lie
heavy upon your hearts:
The murdered is not unaccountable for his own murder,
And the robbed is not blameless in being robbed.
The righteous is not innocent of the deeds of the wicked,
And the white-handed is not clean in the doings of the felon.
Yea, the guilty is oftentimes the victim of the injured,
And still more often the condemned is the burden bearer
for the guiltless and unblamed.
You cannot separate the just from the unjust and the good from the wicked;
For they stand together before the face of the sun even as the black thread and the white are woven together.
And when the black thread breaks, the weaver shall look into the whole cloth, and he shall examine the loom also.
If any of you would bring to judgment the unfaithful wife,
Let him also weigh the heart of her husband in scales, and measure his soul with measurements.
And let him who would lash the offender look unto the spirit of the offended.
And if any of you would punish
in the name of righteousness
and lay the ax unto the evil tree,
let him see to its roots;
And verily he will find the roots of
the good and the bad, the fruitful and the fruitless, all entwined together in the silent heart of the earth.
And you judges who would be just,
What judgment pronounce you upon him who though honest in the flesh yet is a thief in spirit?
What penalty lay you upon him who slays in the flesh yet is himself slain in the spirit?
And how prosecute you him who in action is a deceiver and an oppressor,
Yet who also is aggrieved and outraged?
And how shall you punish those
whose remorse is already greater
than their misdeeds?
Is not remorse the justice which is administered by that very law
which you would fain serve?
Yet you cannot lay remorse upon the innocent nor lift it from the heart of the guilty.
Unbidden shall it call in the night,
that men may wake and gaze upon themselves.
And you who would understand justice, how shall you unless you look upon all deeds in the fullness of light?
Only then shall you know that the erect and the fallen are but one man standing in twilight between the night of his pigmy-self and the day of his god-self,
And that the corner-stone of the temple is not higher than the lowest stone in its foundation.
끝으로 오늘 아침 지인으로부터 받은 작자 미상의 글을 많은 독자들과 나누고 싶어 아래와 같이 옮겨 보리라.
감사하는 인생
어떤 사람이
아직 동이 트기 전 강가로
산책을 나갔습니다.
어둠 속에서
강가를 거닐던 중
그는 무언가
자루 같은 것에
걸려 넘어졌습니다.
넘어진 채로
자세히 보니
그건 가방이었습니다.
호기심에
그 가방을 열어보니
돌들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심심하던 차에
그는 강가에 앉아서
가방 속의 돌들을 하나씩 꺼내서
강속으로 던지기 시작했습니다.
던질 때마다 어둠속에서
첨벙 첨벙 들려오는
물소리를 즐기며
그는 해가 떠오르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마지막 한 개의 돌을
무심코 던지려는 순간
그는 깜짝 놀랐습니다.
손에 들고 있는 돌멩이가
떠오르는 태양 빛에
반짝이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너무나 놀란 그는
돌을 들여다 보고서
가슴을 치며
통곡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때 마침 아침 산책 나온 몇 사람이
그에게 물었습니다.
“무슨 일이 있습니까?
누가 강물에 빠져 죽었습니까?”
그가 통곡을 하다 말고 대답을 합니다.
“여보시오,
이게 뭔지 아시오?
다이아몬드요.
조금 전만 해도
이 가방속에
수백 개의 다이아몬드가
들어 있었는데…
나는 그게 다이아몬드인 줄 모르고
한 시간 넘도록 강물 속에
다 던져 버렸단 말이오.
그래서 이젠
한 개밖에 남지 않았소.”
그는 계속 통곡하더랍니다.
이런 모습이
혹 오늘
우리 모두의 모습이 아닐런지요…
수많은 감사의 조건들
수많은 행복의 순간들
무심코 떠나보내고
또 이러한 것들을
흘러가는 세월이라고 하는 강물에
다 던져 버리고 후회는 않았는지요.
우리 가족들이 건강해서
감사할 수 있어 좋고
우리가 만나는 주변 모든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어서 좋고
우리가 대접 받기보다
우리가 먼저 섬길 수 있어서 좋은
그런 하루하루를 만들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남은
다이아몬드 한 개라도
뒤늦게 갖게 된 것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순간 순간 살아갈 것을
다짐해 봅니다.
Life of Gratitude
One went for a walk by the riverside before dawn.
While walking in the darkness, he stumbled over something and fell.
While on the ground, he saw that the object he fell over was a bag.
Curious, he opened the bag;
it was full of little stones.
Bored with nothing else to do, he sat by the bank and began to throw the stones into the river, one by one.
Enjoying the splashing sound made by the water in the darkness, he was waiting for the morning sun to rise.
He was about to cast his last stone without a thought, and he stopped, utterly stunned…
The stone held in his hand sparkled in the first rays of the rising sun.
He took a close look at the stone, and began to wail loudly.
Several people who were taking a morning stroll by the bank gathered around him, asking:
“What’s the matter? Did anyone drown in the river?”
In the midst of his weeping, he replied:
“Do you know what this is? This is a diamond!
And this bag was full of these diamonds a while ago…
And I cast them all away into the river for over an hour, not knowing that they were diamonds!
And now I have only one left…”
Are we not like him in the way we live these days?
We cast away without a thought so many precious moments of gratitude and happiness.
Only to regret later,
having cast them all
into the river of time.
From now on,
let us determine
to make each day precious.
Grateful that our loved ones are healthy,
Happy that we can love our neighbors,
and happy that we can serve
instead of being served,
Living each day
with the gratitude
of knowing finally
the preciousness of
the one last remaining diamond
we possess now.
ㅡ By an anonymous writer
이 우화(寓話)는 우린 모두 별똥별 유성(流星meteor), 성신(星神/身) 코스미안이란 뜻이리라.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