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간세설] 끌림이 없는 만남은 만남이 아니다

[Column] Meeting Devoid Of Attraction Is No Meeting At All


영어로 화학작용을 케미스트리(chemistry)라고 한다. 우리말로는 궁합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일이나 사람은 서로 끌림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지 않은 만남은 진정한 만남이 될 수 없다. 그 예를 몇 가지 들어보자.

요즘 미국에선 기업마다 '고스팅(ghosting)'과 '노-쇼(no-show)'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요식업이나 항공업계에서는 예약 고객이 연락도 하지 않은 채 나타나지 않아 예약부도를 내는가 하면, 일반 기업체에서는 이력서를 제출하고 면접을 본다고 해놓고 나타나지 않는 '면접 고스팅'도 있다. 내일부터 출근하겠다던 신입직원이 다음 날 아침 아무런 연락도 없이 나타나지 않는 '출근 고스팅'이 있는가 하면, 기존 직원이 그만둔다는 사표 한 장이나  말 한마디 없이 연락을 끊고 잠적해버리는 '퇴사 고스팅'도 있다. 

이런 고스팅이 미국 직장문화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2018년 12월 12일 보도했다. 유령처럼 보이지 않게 사라진다는 의미로 특히 연인 사이에서 갑자기 연락를 끊고 잠적해버리는 행위를 뜻하는 이 용어는 온라인 사전 '딕셔너리 닷컴'이 2016년 처음 사용하면서 세상에 알려져 쓰이기 시작한 말이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지 생각해 보자.

그 답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끌림'이 없기 때문이다. 모든 것이 기계화 되고 경제와 자본의 논리로 운영되는 자본주의 사회의 열악한 근무 환경에서 착취당하고 있다고 느끼는 한, 그 어떤 열정이나 애정도 생겨날 수 없다.  인간관계의 회복 없이는 일 다운 일이나 사랑 다운 사랑은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사람은 끌림이 있을 때에 '죽어도 좋아' 라며 미친듯이 몰입할 수 있다.  이렇게 몰입된 상태에서만 순간 순간 지복(至福)의 행복감을 맛볼 수 있다.

이럴 때 우리는 비로소 영국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1857-1827)가 노래한 시가 자신의 것이 될 수 있다.

"모래 한 알에서 세계를 

들꽃 한 송이에서 천국을 

볼 수 있도록

한 손에 무한을,

한 순간에 영원을 

잡으리라." 재미 작가 이태상

Meeting Devoid Of Attraction Is No Meeting At All

 It's called 'chemistry' in English, which may be translated into Korean as '궁합' , meaning astrological, carnal and personality compatibility. This is to say that there has to be attraction between you and whom you meet and what you do.  Otherwise, there cannot be real love and passion to speak of.

It is a new tren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se days that airlines, restaurants and other businesses are suffering from 'no-shows' and 'ghosting' ㅡ such as failing to come to an interview, to report to work or quitting the job without giving notice.

Under the headline "Workers are ghosting their employers like bad dates", Danielle Paquette of The Washington Post, December 12, 2018, reported that workers are ditching jobs with nary a text.

How come this is happening?

The answer could be given in a word:  loss of humanity for lack of a better word.  In our modern capitalistic and technological society run by all-business-logic, no room is left for human relationship and touch that can be nurtured by companionship, friendship, esprit de corps, etc.

When you feel you are just being exploited by the system, how can you develop love and passion for anybody or anything?  One can be immersed in romance or one's work only when you are totally attracted to someone or something.  Then, only then, you can give it all, your life and what not.

Only then, one can recite a poem by William Blake(1857-1827) as one's own:

To see a World in a Grain of Sand

And a Heaven in a Wild Flower.

Hold Infinity in the palm of your hand

And Eternity in an hour. Tae Sang Lee

 

 


편집부 기자
작성 2018.12.23 15:04 수정 2018.12.23 15:2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