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의 책] 저 봐, 섬이 떠내려가네

이봉수 지음

섬으로부터의 사유를 담다

 

멈추지 않았다떠남과 돌아옴의 자유를 누리며 정주하지 않고 끝없이 방랑했다자연이 시인의 친구였으며 스승이었다이봉수 시인이 자연 속에서 건져 올린 시어들은 숭어처럼 팔딱팔딱 뛰며 살아 숨 쉬었다섬마다 떠돌면서 비로소 바다를 알았다섬이 바다에 갇힌 게 아니라 바다가 섬에게 갇힌 이유를 시로 풀어내고 보니 자연이 보이고 시가 보였다이봉수 시인은 섬과 바다와 도시와 사람들의 언어를 찾아 돈키호테처럼 여행과 기행 사이를 오가며 방황했다그렇게 쓴 시들이 섬처럼 수수하게 빛났고 바다처럼 포근했다시집 저 봐섬이 떠내려가네는 총 4단락으로 나눠서 엮었다. ‘’, ‘자연과 향수’, ‘사람 사는 이야기’, ‘사랑 그 너머의 자유’ 이렇게 나누어 자연의 맛사람 사는 맛을 따뜻하게 담아냈다때론 짧고 간결한 선시처럼 맑고 깨끗한 꽃향기가 나기도 한다또한 우리 이웃들의 땀 냄새 풀풀 날리는 인간미의 시도 있다누구나 쉽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진정한 시의 참맛을 진솔하게 그려낸 매우 드문 시집이다.

 

▶ 출판사 서평

 

지금은 진정한 시의 갈증이 필요한 때다풀지 못하는 비밀 같은 언어의 장난이 아니라 깊은 산속 옹달샘에서 퍼 올린 맑고 차가운 샘물 같은 언어가 필요할 때다이봉수 시인의 저 봐 섬이 떠내려가네는 오랫동안 삭히고 숙성시킨 시인의 언어의 맛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섬이라는 자연에서 받은 영감이 살아서 춤춘다일상의 소소한 사유가 시가 되고 삶에 대한 성찰이 치유의 글향기가 되기도 한다삶의 조각들이 하나둘 모여 시로 승화될 때 시인은 깨달음에 다가갔다고 한다시를 쓰면서 삶을 치유하고 생명의 가치와 자연의 이치를 시에 담아냈다이봉수 시인의 첫 번째 시집은 시인의 언어는 곧 자연의 언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자연과인문 刊 / 이봉수 지음


작성 2022.07.19 10:16 수정 2022.07.19 10:1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우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6.21 제3기 마포구 어린이청소년의회 발대식 현장스케치
6월 13일 제10대 관악구 청소년 자치의회 발대식 현장 스케치
[현장스케치] 제16대 청소년 의회 본회의 현장 탐구하기
도시와 소나무
잭과 콩나무
거미
아침안개
누구냐, 넌
2025년 7월 3일
2025년 7월 3일
2025년 7월 2일
2025년 7월 2일
2025년 7월 1일
2025년 7월 1일
장백산양꼬치데이 50%한정할인 월요일화요일 감사합니다 #장백산양꼬치데이
그 도시에 문화예술 수준을 높이는 학원이 되어야 한다#음악학원운영 #김선..
[ESN 쇼츠뉴스] 2025 인천국제민속영화제 성료! ‘로미오와 줄리엣’..
[ESN쇼츠뉴스 영화]박철현 감독·김명국 배우IIFF2025 레드카펫 빛..
[자유발언] 청소년 자치활동의 진정한 의미
2025년 7월 1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