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 미래도시 계발계획, 서울로 향하는 개발축은 상암DMC와 연계한 성장축으로 형성~
- 서울생활권 고양시의 미래도시상은 녹색전원도시, 문화복지도시, 정보교류도시 실현!
고양시는 바람직한 미래 비전과 방향제시하며 공공기능 및 공공기관의 지방 분산에 따른 수도권 기능 개편에 대비하여 남북교류협력 증대에 따른 남북교류의 관문도시로써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국제 업무기능 및 교류의 활성화와 수도권 광역급행열차 (GTX) 추진 등 고양시의 대내·외적 여건변화에 준비하고 있다.
또한 시민 삶의 욕구 변화에 대응하는 여가, 복지, 문화, 교육 등 기본계획 수립을 통하여 풍요로운 시민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고양시만의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기반 조성 전략수립 등 2010년부터 5년 단위 4단계에 걸친 2030년 고양도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고양시 행정구역은 266.406㎢면적으로 3개구 39개동으로 되어 있으며, 도시전체의 체계적·계획적 관리를 위해 고양시 행정구역 전역을 대상으로 도시미래상 실천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여 토지이용, 교통, 사회, 경제 등 각 분야별 계획의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여 도시 관리계획에 의한 재정비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고양시는 도시 미래상을 다음세대까지 고려한 '청정문화도시' 고양, 신한류와 창조문화의 중심지로 "평화통일특별시" 고양시를 구축하기 위하여 대내외적인 연건을 조성해가고 있으며, 고양시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자연과 전통이 조화를 이루는 녹색전원도시 실현과 삶의 퀄리티를 높여줄 문화복지 도시실현, 국제화시대를 선도하는 정보교류도시 청정문화(淸淨文化) 복지도시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수도권 서북부에 위치한 고양시는 100만 대도시로 성장하고 있으며, 대중국, 대북 교류의 중심도시로 주변지역과 공간적 연계 구조를 가지고 있다. 파주시의 문산~교하·운정 축은 고양시의 일산으로 연계 되어있고, 김포시의 한강씨네폴리스는 킨텍스, 한류월드와 연계 되어있다. 또한 기존의 도심과 성장축을 고려하여 일산지역과 덕양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국제교류 및 남북교류 기능과 자족기능을 부여한 통합형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덕은 미디어밸리’가 위치하고 있는 덕양지역 남부권 발전계획은 자동차, 물류, 미디어 등 산업기능 강화와 활성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기반을 조성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테마마을 조성을 통한 전원형 주거공간을 창출하여 한강변 수변공간을 활용 시민여가 활동과 체험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교통계획으로는 서울외곽순환도로,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신설로 도로망을 구축되었고, 서울~문산 고속도로 신설로 고양시와 서울간 연계를 강화 할 것이다. 차후 서울광명고속도로와도 연장되어 리 후 광명시흥테크노밸리와도 산업적인 연계성이 강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고양시는 덕양 남부권에 위치한 ‘덕은 미디어밸리’를 차후 진행되는 일산테크노밸리, 장항방송단지, CJ한류월드와 연계를 고려하여 도시계획을 하였으며, 특히 상암DMC와 마곡산업단지 최인접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한강조망권의 프리미엄을 등에 업고 방송, 미디어, 통신, 지식산업 등 미디어밸리로 4차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을 시킬 계획을 수립하였다.
‘고양덕은지구’는 2018년까지 기반토목공사가 마무리되었으며, 2019년 상반기부터 후분양이 시작된다. 특히 서울의 생활권과 한강조망권을 갖고 있는 덕은지구 미디어밸리에 주거나 상업용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