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슈켄트 외곽에 있는 ‘아리랑 요양원’ 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양국의 합의로 고려인 1세대 독거 어르신을 위해 만든 요양원으로 2006년 양국 정부간 합의에 따라 우즈베키스탄측이 건물을 무상증여하고 재외동포재단이 개보수를 지원했고 2010년 3월에 개원해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
고려인 은 1920년대 스탈린 치하 소련 연해주 등지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당한 조선인 약 17만명의 후손을 말한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에는 단일국가로는 가장 많은 18만 명의 고려인이 살고 있었고 아리랑 요양원이 있는 지역에는 ‘고려말’ 을 하지 않으면 당근 하나도 살 수 없을 정도의 고려인 집성촌이 있었다.
나라 잃은 고려인들은 낯설고 거친 땅을 일궜고 그 땅에서 쌀을 키우고 김치를 담가 먹으며 끈질기게 살아남았다. 그러나 이제는 세월이 흘러 1세대 대부분은 80대 후반, 90대가 되었고 자식 손자들은 한국이나 다른 나라, 대도시로 공부나 일을 하러 떠나갔다. 이제 이 지역의 1세대 어르신들은 아리랑 요양원에서 생활하고 있고 고려인 이주 초창기의 삶을 기억하는 이들도 몇 남지 않은 상황이다.
오늘 김정숙 여사와 미르지요예바 여사는 오전의 공식환영식부터 369 유치원 방문, 아리랑 요양원 방문까지 하루 종일 모든 일정을 함께 했으며 두 영부인은 요양원 2층 거실에서 입소중인 1세대 고려인 어르신들을 만났다.
김정숙 여사는 이 자리에서 “오늘 미르지요예바 여사와 함께 다니며 아리랑 요양원에 함께 했다. 고려인들은 나라 없이 와서 노력으로 부자도 되고, 소비에트 시절에는 노력영웅도 23명이나 된 훌륭한 분들이다”면서 고려인 1세대 어르신의 삶에 경의를 표했다.
김 여사는 “(고려인들은) 뿌리는 한국인이지만 우즈벡 국민이기도 하다. 여기올 때 마음이 복잡했다. (당시) 나라잃은 마음으로 왔을 텐데 마음이 아팠다. 고생하셨다고 들었고 한국 국민으로 우즈벡에 감사하다”고 말을 이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 많이 컸고 (이제는 다른 나라에게) 무엇을 도와주고 함께 클 것인가를 많이 이야기한다. 어머니들의 노고가 밑바탕에 있다. 대통령 정상회담하며 우리도 줄 것이 있다 이야기할 수 있어 뿌듯하다. 그 밑바탕에는 어머니들의 노고가 있다”며 감사를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에서 고려인 동포들을 만나 존경과 감사의 뜻을 전했다. 고려인은 1920년대 스탈린 치하 소련 연해주 등지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한 조선인 약 17만 명의 후손이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에는 단일국가로는 가장 많은 18만 명의 고려인이 살고 있다.
문 대통령은 “훈ㆍ포장을 받지 않았더라도 고려인 1세대는 모두 애국자이고 독립유공자”라며 “3ㆍ1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인 올해 자랑스러운 독립유공자의 후손들을 만나게 되어 매우 뜻 깊다”고 전했다.
정부의 지원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샤프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한국 기업 진출과 투자 확대에 최우선적 기회를 부여하고 국적이 없는 고려인 동포들의 국적 문제 해결도 약속했다”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