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파견·용역 비정규직 노동자들, 오래 기다림 끝에 파업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책임 방기한 공공기관들, 정규직화 서둘러야


대구지역의 지자체와 공공기관에서 파견, 용역 등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문제가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8개 구·CCTV 관제사들의 파업에 이어 경북대병원의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천막농성에 들어갔다. 파견용역 노동자들이 오랜 기다림 끝에도 정규직 전환이 차일피일 미뤄지자 행동에 나섰다.

 

지금에 와서 지자체와 경북대병원은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의 정규직 전환 정책은 오래전부터 시작된 정부 정책이다. 지난 2017년 문재인정부에서 더 본격화되어 이제 곧 1단계 완료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그럼에도 대구지역 공공기관들은 아직도 잠정합의 인원과 임금체계 결정 등 최소한의 방침조차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대구참여연대는 공공기관과 지자체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이야기 하고 있지만 지난 16개월이 넘는 시간동안 도대체 무엇을 했는지 답변이 필요한다“8개 구군은 2017, 2018년을 허송세월로 보내고 20191단계를 완료해나가야 할 시점에서야 대화에 나서는 등 정책 추진의 의지가 전혀 없어 보인다고 주장했다.

 

더군다나 대구시, 대구도시철도공사 등 정규직 전환을 진척시킨 지역의 여러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기본적인 전환 계획조차 확정하지 못했다는 것은 의지가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파견·용역 노동자들이 더 이상 참지 못해 기자회견. 천막농성, 파업 등 행동에 나서야만 그나마 협의 테이블을 구성하는 행태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 추진 의지를 의심케 한다. 특히 기초지자체와 경북대병원은 그동안 비정규직 관련 문제로 여러 번 지적을 당했음에도 제대로 된 정책추진이 되지 않는 다는 점에서 더욱 비판 받아 마땅하다.

 

한편 대구참여연대는“8개 구군의 기초지자체와 경북대 병원은 파견용역노동자들의 정규직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어느 지역보다 비정규직 많고 노동환경이 열악한 대구지역인 만큼 공공기관부터라도 지역민의 삶과 공공서비스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영재 기자
작성 2019.05.09 13:36 수정 2019.05.18 15:31

RSS피드 기사제공처 : 대구북구뉴스 / 등록기자: 이영재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여름하늘
아기꽃냥이
냇가
강아지풀이 통통해지면 가을이 온다
길고양이
소와 여름
2025년 7월 21일
#이용사자격증 #주말속성반 #직장인반
[자유발언] 딥페이크 이용 범죄의 원인과 해결방안
밤이 깊고 낮이 가까웠으니 3 - 장재형목사
어린왕자
빗소리
진돗개가 있는 아침 풍경
빨리 도망가
외국인들이 정말 부러워한 대한민국 시민의식
아기고양이
상처와 사랑
물 먹으러 온 벌
[자유발언] 정치 교육의 필요성
여름과 여름 사이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