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기본구상 수립 및 성공적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6월부터 1단계 DMC역 복합개발 사전협상 추진, '22년 착공 계획
- 올해 2단계 철도시설 부지 지구단위계획 수립(서울시)하고 민간사업시행자 공모(코레일) 추진, '25년 착공 목표
- 단절된 상암․수색지역을 잇는 서북권 광역 중심으로 육성, 일자리 1만 5천개 창출 기대
서울시와 코레일은 서북권 지역 주민들의 숙원 사업인 수색역세권 개발을 위해 공동으로 기본구상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간다.
서울시는 이 지역의 활성화를 위하여 2013년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서울플랜)”에서 상암․수색을 광역중심으로 선정했다. 2014년 “수색역 일대 개발 가이드라인”을 통해 광역중심에 부합하는 철도시설 부지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고, 이후 개발부지를 확대하고 사업실현성을 우선하여 기본구상을 수립하였다.
수색역세권 개발사업은 수색교부터~DMC역에 이르는 약 32만㎡이며, 그 중 운행선(철로)을 제외한 22만㎡를 개발하게 된다. 이를 추진하기 위한 기본구상에서는 “DMC를 기반으로 상암‧수색지역을 통합하는 글로벌 서북권 광역중심 육성” 비전을 바탕으로 “광역 중심기능 확충”과 “지역간 연계 활성화”의 두 개의 추진전략을 수립하였다.
서울시와 코레일은 사업실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DMC역사를 1단계로 먼저 개발하고 나머지 철도시설 부지를 2단계로 개발할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약 1.7조원 정도다.
서울시와 코레일은 18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원활한 인허가 지원 및 성공적인 개발을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한편 김선순 서울시 지역발전본부장은 “서울시와 코레일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사업이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며, “올해 지구단위계획 수립과 민간사업자 공모 등 그 어느 때보다 양 기관이 긴밀히 협력할 시기”라며 “서북권 광역중심 뿐 만 아니라 향후 통일 관문의 중심으로 개발․육성되도록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김천수 코레일 사업개발본부장은 “수색역세권 통합개발은 상암·수색간 도시공간구조 구축을 바라는 지역주민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으로 1단계 DMC역 개발을 위한 민간사업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한 것 같이, 2단계 수색역세권 개발 사업 역시 민간 사업시행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서울시와 긴밀히 협력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지역주민들의 숙원사업인 수색역세권 개발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이 지역이 통일을 대비한 서울의 관문지역으로 발전하고 기반시설 확충․정비로 상암‧수색 통합 및 지역 간 격차 해소 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사업 완료시 일자리 약 1만 5천개 창출, 중심상업 수요발생으로 약 2조 7천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도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