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시민단체가 대구시교육청이 ‘통일준비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을 특정단체에 독점위탁을 주고 있고, 반통일, 반민주적 표현이 다수 포함되어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구시 교육청은 2011년부터 현재까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통일준비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자유총연맹 대구광역시지부에 독점위탁을 주고 있다. 자유총연맹은 매년 3월부터 11월까지 대구지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교육 프로그램에 연간 5만 명이 넘는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고, 지난 9년 동안 연인원 45만명의 학생들이 수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준비 민주시민교육’프로그램은 청소년의 건전한 통일관을 정립하여 통일에 대한 의식개혁을 목적으로 시작됐다. 기존의 통일교육이 국가와 체제의 안보에 그 중심이 있었다면 새로운 통일교육은 인권과 개인의 안전과 보존에 중심이 있다.
또한 통일교육이 상대방을 부정하고 체제중심으로의 결속을 요구했다면, 새로운 통일교육은 상대방을 인정, 포용하는 상호주의적 소통과 통합이 중심이다. 하지만 현장 강사들의 강의 내용에는 반통일, 반민주적 표현이 다수 포함되어 본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시대에 뒤떨어진 ‘종북’, ‘빨갱이’ 등의 막말 표현까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며 “교육을 듣는 학생들은 물론이고 교사들조차 이런 통일교육에 대한 회의론이 나오고 있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최근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으로 통일과 민주주의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의식은 한층 고조되고 있지만, 대구시 교육청에서 위탁하는 통일 민주시민교육이 이념적 편향성만을 강조하면서 종북’, ‘빨갱이’와 같은 시대착오적인 논리를 주장하는 수준 미달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통일준비 민주시민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철저한 감사 실시, 통일교육을 특정단체에 독점 위탁하는 행위 즉각 중단, 통일교육 강사진을 통일과 민주시민교육분야의 전문가들로 새롭게 구성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대구참여연대는 “tv조선 패널, 북한이탈주민, 자유한국당 대구시의원, 재향군인회 등 여전히 냉전적 반북단체 출신의 강사로는 균형 잡힌 통일교육을 기대할 수 없다”며 “이제 통일교육은 과거의 이데올로기, 정치, 민족 등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미래를 지향하는 통합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