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2호선, 내년 3월 ICT기반‘스마트 스테이션’탈바꿈

- 서울교통공사,2호선에 ICT기반 역사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착수...’20년 3월 완료

- 3D맵·지능형CCTV·IoT센서 통해 상시 입체적 모니터링 가능...안전·보안·운영효율

- 김태호 사장 “스마트 스테이션을 미래형 도시철도 역사 관리 시스템의 표준으로 정립할 것”

[사진제공:서울시청]


- 서울교통공사,2호선에 ICT기반 역사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착수...’203월 완료

- 3D·지능형CCTV·IoT센서 통해 상시 입체적 모니터링 가능...안전·보안·운영효율

-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 개량해 추진, LG유플러스 컨소시엄 3일 착수 보고

- 김태호 사장 스마트 스테이션을 미래형 도시철도 역사 관리 시스템의 표준으로 정립할 것

 

20184월부터 서울 지하철 5호선 군자역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된 스마트 스테이션이 2호선 역에 본격 도입된다.

서울교통공사(사장 김태호)는 현재 분산돼 있는 분야별 역사 관리 정보를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스테이션을 내년 3월까지 2호선 50개 전 역사에 구축한다고 밝혔다. 앞서 군자역에 스마트 스테이션을 시범 구축한 결과 역사 순회시간이 평균 28분에서 10분으로 줄고 돌발 상황 시 대응시간이 평균 11분에서 3분으로 단축되는 등 안전과 보안, 운영 효율 향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확대를 결정했다.

 

스마트 스테이션이 도입되면 3D, IoT센서, 지능형 CCTV 등이 유기적으로 기능하면서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보안, 재난, 시설물, 고객서비스 분야 등에서 통합적인 역사 관리가 가능해 진다. 3D맵은 역 직원이 역사 내부를 3D 지도로 한 눈에 볼 수 있어 화재 등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위치와 상황을 기존 평면형 지도보다 좀 더 정확하고 입체적으로 파악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지능형 CCTV는 화질이 200만 화소 이상으로 높고 객체인식 기능이 탑재돼 있어 제한구역에 무단침입이나 역사 화재 등이 발생했을 때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지하철 역사 내부를 3차원으로 표현함으로써 위치별 CCTV 화면을 통한 가상순찰도 가능하다.

 

이번 계약에는 시설물 장애 등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각 부서에서 운용 중인 IoT 단말 수집 정보를 표준화하고 LTE-R 기반의 IoT 플랫폼을 구축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또한 군자역에 적용된 스마트 스테이션 기능을 보완하는 작업이 동반된다. 휠체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역 직원에게 통보해 주는 기능을 추가하는 등 교통약자 서비스를 강화하고 역 직원이 역무실 밖에서도 역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모바일 버전을 구축하는 것이 주요 개선사항이다.

 

한편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2호선을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전 호선에 스마트 스테이션 도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라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스마트 스테이션을 미래형 도시철도 역사 관리 시스템의 표준으로 정립하고 향후 해외에 수출할 수 있도록 기회를 모색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서신석 기자
작성 2019.07.03 22:12 수정 2019.07.03 22:13

RSS피드 기사제공처 : 지식산업센터뉴스 / 등록기자: 서신석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여름하늘
잠자리가 날아가는 하늘
의자가 있는 풍경
아기고양이의 사냥 본능
ai영상 순천만칠게빵 cf홍보영상 국제온라인6차산업협회 #마크강
여름하늘
아기꽃냥이
냇가
강아지풀이 통통해지면 가을이 온다
길고양이
소와 여름
2025년 7월 21일
#이용사자격증 #주말속성반 #직장인반
[자유발언] 딥페이크 이용 범죄의 원인과 해결방안
밤이 깊고 낮이 가까웠으니 3 - 장재형목사
어린왕자
빗소리
진돗개가 있는 아침 풍경
빨리 도망가
외국인들이 정말 부러워한 대한민국 시민의식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