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식회계
-빚 좋은 개살구
-경영실적을 실제보다 좋게 보이게 할 목적으로 자산이나 이익을 부풀려 계산하는 회계방식
글로벌 경쟁 시대를 맞아 기업의 경영투명성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등장했다. 그러나 경영실적을 속이는 분식회계(粉飾會計)를 하는 기업이 아직도 남아 있다.
분식회계란 기업이 실제 경영실적보다 좋게 보이기위해 자산이나 이익을 부풀려 계산하는 회계방식을 말하며, 다른말로 ‘분식결산’ 이라고도 한다.
분식회계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
분식(粉飾)은 ‘실제보다 좋게 보이려고 사실을 숨기고 거짓으로 꾸민다’ 는 뜻이다. 말 그대로 기업의 실재 재정상태나 경영실적을 속이고 좋은 상태인 것처럼 보이도록 부풀려 계산하는 것.
분식회계를 의미하는 영어(window dressing)도 ‘진열창에 장식한다’ 는 듯이다.
백화점이나 명품점을 보면 진열창에 제품을 멋있게 전시해 고객의 구매욕구를 자극하죠.
대표적인 분식회계 사례로는 팔지도 않은 물품의 매출전표를 끊어 매출채권(외상매출금+받을어음)을 부풀리거나, 매출채권의 대손충당금을 고의로 적게잡아 이익을 부풀리거나, 아직도 팔리지않고 쌓여 있는 재고자산의 가치를 장부에 과대계상(지나치게 많이 계산해 올려 놓은 것)하는것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대우조선해양의 분식 회계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대우조선해양은 2012년부터 3년동안 무려 5조원대의 회계사기를 저질렀고, 검찰의 조사가 시작되자 2104년 영업손실을 그제서야 4,711억원 흑자에서 7,429억원 적자로 바꾸었다,
대우조선해양의 수조원대 분식회계 혐의를 알고도 묵인한 딜로이트 안진 회계법인은 2017년 금융위원회로부터 1년 영업정지 제재를 받는 처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