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진화하는 인터넷 환경’
시맨틱 웹
-컴퓨터가 수많은 정보중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아서 분석해주는 인터넷 환경
2016년 3월 인류 역사에 남을 대결이 우리나라에서 벌어졌다. 바로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Alpha Go) 와 세계최고의 바둑 기사로 손꼽히는 이세돌 9단의 대결이었다.
당시 많은 사람이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미흡함을 들어 이세돌의 우승을 점쳣지만 ,결과는 4승 1패로 알파고의 승리 였다.
기계와의 대결에서 인간이 패하자 전세계는 큰 충격에 휩싸였다.
그런 한편 으로 승리의 주역인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또한 커졌다.
인공지능은 단순히 사람이 입력하는 지식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된 지식을 바탕으로 스스로 학습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발전애는 시맨틱 웹(semantic web)기술이 큰역활을 했다.
인공지능은 다음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시맨틱 웹은 컴퓨터가 자체적으로 인터넷상의 정보를 탐색 및 수집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추리하는 정보처리 기술을 말한다. 그럼 이전의 인터넷 정보처리 기술의 발전 과정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인터넷이 도입된이후 지금까지 인터넷 환경은 꾸준히 진화해 왔다.
기술의 발전 혹은 사건에 의해 인터넷 환경은 웹1.0 웹 2.0, 웹3.0 으로 발전해 왔다.
먼저 웹1.0 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로, 이용자가 직접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해 각종정보를 얻는 것을 말한다. 웹2.0은 이용자가 스스로 참여해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UCC(사용자 제작 콘텐츠), 블로그,트위터,페이스북 등을 들수 있죠.
웹3.0은 수많은 정보중 컴퓨터가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를 알아서 찾아주는 기술이다.
이를 다른말로 ‘시맨틱 웹 기술’ 이라고 한다. 이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뿐만아니라, 상황인식을 통해 이용자 맞춤형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맨틱 웹 기술에 기반을 둔 웹3.0 이후는 인공지능의 시대가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알파고처럼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하고 행동하며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상황 판단력과 적응력을 갖게되는, 영화같은 시대가 시작될 것이라고 예견한다.
앞으로 다가올 웹기술의 혁명이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대된다.
지식산업센터뉴스 이호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