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설가 한강이 2024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스웨덴 한림원은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하는 강렬한 시적 산문을 쓴 공로"라고 밝혔다. 많은 사람들이 이제 제대로 된 노벨상을 받았다고 환영하는 분위기다.

 

한강은 2016년 '채식주의자'로 영국의 부커상을 수상했으며, 2023년에는 장편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로 프랑스의 메디치 외국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작가의 작품을 번역하여 꾸준히 서방세계에 알린 것이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에 주효했다.

 

채식주의자는 영국인들의 정서와 문화를 가장 잘 알면서 한국어에 능통한 데보라 스미스가 번역하여 부커상을 받았고, 메디치상도 번역의 기술이 만들어 낸 쾌거였다. 물론 원작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으나 운 좋게 훌륭한 번역가를 만난 것은 작가의 행운이자 시절 인연으로 보인다.

 

스웨덴 한림원이 수상자를 선정하는 노벨문학상은 서구인들의 잣대와 가치관으로 작품을 평가하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심사위원 중에 한글을 아는 사람이 없으니 한국문학 작품의 원작을 읽고 평가한다는 것은 아예 불가능이다. 결국 영어 번역 작품이 노벨상 수상의 필요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85세로 타계한 인도계 영국인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비디아다르 네이폴은 “난 내가 열고 싶은 문이 어떤 문인지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 문을 두드렸다.”라고 말했다. 소설가 한강은 자신의 작품을 번역의 창을 통하여 열고 싶은 문을 두드린 행운아다.

 

우리나라에는 뛰어난 작가들이 많다. 황동규, 나태주, 김용택, 정호승 등 시인들과 김훈, 이문열을 비롯한 소설가들도 번역을 통하여 원작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잘 표현하면 노벨문학상을 받고도 남을 작가들이다. 이런 작업을 하라고 문체부가 있는 것이다. 

 

작성 2024.10.11 11:19 수정 2024.10.12 10:2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