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출판사 서평
기술과 시대상이 놀랄 만한 속도로 바뀌면서 책읽기, 글쓰기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상당히 줄어들었다. 그만큼 올바른 우리말 쓰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즉, 상당수의 사람이 문서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어려움을 어느 정도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두고 기획·저술되었으며, 오늘날 우리가 많이 접하고 있는 다양한 문서 사례들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다양한 분야의 문서를 작성할 때 우리말을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오늘날 우리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장 내 업무 수행, 대학 진학, 취업, 논문 작성, SNS 활용 등과 관련된 글을 매끄럽고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사람들에게 더욱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작가 지망생으로서 글을 좀 더 쉽고 자연스럽게 쓰고 싶은 사람
-. 기업·기관의 신입 사원으로서 조직 내의 각종 문서 작성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
-. 기업·기관 내의 인사·총무·기획·홍보 업무 종사자로서 관련 문서 등을 무난하게 작성하고 싶은 사람
-. 자신의 석사·박사 학위 논문을 알차게 작성하고 싶은 사람
-. 언론 매체 종사자로서 기사나 글을 더욱 매끄럽게 작성하고 싶은 사람
-. 대입 자기소개서를 매끄럽게 작성하고 싶은 사람
-. 가독성이 양호한 취업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고 싶은 사람
-. 교재·매뉴얼·잡지 등의 글을 무난하게 작성하고 싶은 사람
-. 카카오톡 글이나 문자 메시지를 문법에 맞게 작성하고 싶은 사람
-.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고 싶은 사람
숙독을 통해 이 책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한다면 우리말에 대한 자신감이 상당히 커질 것이다.
2. 추천사
이 책은 목차에서 알 수 있듯이 맞춤법이나 표기법과 같이 규범 중심으로 접근하지 않고 실무 중심으로 접근하려 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책과 차별화된다. 기관의 공식적인 문서들로부터 전자우편, 문자 메시지 등 사적인 언어표현에 이르기까지 흔히 범하기 쉬운 오류들을 점검해 볼 수 있다. 이 책이 실무적으로도 상당히 도움되겠지만 올바른 글쓰기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자각하게 하는, 좋은 계기가 되어 줄 것이라 확신한다.
- 공명철(부산 장안고 국어 교사, 전 EBS 언어 영역 강사)
‘컷 & 페이스트’ 시대에 퇴고나 윤문은 훨씬 편해졌다. 하지만 편한 만큼 문장을 혼자 힘으로 고치는 것을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안타까움에 저자는 이 책을 집필하였다. 예문에 바탕을 둔, 매우 실용적인 서적이기에 다양한 분야의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주창범(동국대 행정학과 교수, 전 MBC PD)
3. 저자 소개
지은이 박기원
어릴 때부터 수많은 책과 잡지를 읽어온 독서광이다. 교정·교열 경력은 9년 정도이며 그동안 서적·논문·보고서·제안서·백서·매뉴얼·브로슈어·잡지 등 각종 인쇄물과 문서를 대상으로 다양한 작업 이력을 쌓아왔다. 우리 문화의 가치가 국내외에서 빛을 더욱 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말과 글이 제대로 쓰여야 한다는 신념 아래 우리말의 올바른 쓰임새를 널리 알리기 위해 계속 노력할 예정이다.
현재 직장인 교육 전문업체인 휴넷(www.hunet.co.kr)에서 운영하는 탤런트 뱅크(시니어 전문가 매칭 플랫폼, talentbank.co.kr)의 엑스퍼트(교정・교열 분야)다.
이메일 주소 : pkw3324@naver.com
네이버 교정·교열 사례 학습 카페지기 - http://cafe.naver.com/pkw3324
4. 목 차
PART 1 서적
01 경영·경제 서적
02 역사 서적
03 여행 서적
04 건강·의학 서적
05 자기계발서
06 수필집
07 자서전
08 소설
09 종교 서적
10 기타
PART 2 기업·기관 문서
01 사업 계획서
02 기획서
03 보고서
04 공시 자료
05 공지문
06 제안서
07 리플릿·카탈로그
08 홈페이지
09 규정
10 채용 공고·모집 공고
11 계약서
12 기안문·품의서
13 시말서·사유서
14 업무 일지
15 회의록
16 회사 소개서
17 사사·백서
18 사례집
PART 3 논문
PART 4 자기소개서
01 취업 자기소개서
02 대입 자기소개서
PART 5 기타
01 전자우편
02 보도 자료
03 신문 기사
04 잡지
05 소식지
06 교안·교재
07 매뉴얼
08 안내문
09 카카오톡·문자 메시지
PART 6 띄어쓰기
01 공문
02 제안서
03 온라인 쇼핑몰
04 인사 관리 서적
05 기업체 실용 양식
06 채용 공고
07 보고서
08 논문
09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