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내년 전국에 치매환자 100만 명 돌파가 예상되자 총 46개 치매안심센터에서 예방·진단·가족돌봄까지 원스톱 지원하고 있다고 당부했다.
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3월 ‘2023년 치매 역학·실태조사’를 통해 2025년 기준 치매환자 수는 97만 명을 기록, 내년에는 100만 명을 넘을 전망이다.
특히 치매 예방과 조기 발견의 필요성이 강조될 정도로 75세 이상 인구의 치매유병률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도는 치매관리법에 근거해 1개 광역치매센터와 46개 치매안심센터를 운영 중으로, 800명이 넘는 종사자들이 치매관리사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치매로 진단받지 않은 경기도민은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해 무료로 치매검사를 받을 수 있다.
간단한 선별검사를 통해 인지 저하가 의심될 경우, 치매안심센터 협력의사 및 협약병원을 통해 진단검사와 감별검사를 받을 수 있다.
치매환자 및 가족은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치매환자쉼터 ▲조호물품(환자 돌봄에 필요한 기저귀 등) 지원 ▲치매환자 가족교실이 운영되고 있다.
특히 힐링프로그램 등 맞춤형 서비스와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도민도 ▲치매예방교실 ▲인지강화교실 ▲치매인식개선 활동 등에 참여할 수 있다.
도는 2025년 특화사업으로 ‘치매가족돌봄 안심휴가’를 운영, 돌봄 가족의 육체적·정신적 최소화하기 위해 연 10일 이내 입원이나 돌봄비로 30만 원까지 지원한다.
올해부터 치매 감별검사 비용(최대 11만 원) 지원에 대한 소득제한을 폐지하고, 치매치료비(연 36만 원) 지원한다.
소득 기준을 중위소득 120% 이하에서 140% 이하로 확대해 많은 치매환자와 보호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지역치매 환자와 가족이 지역사회 어려움을 최소화 하고 치매에 대한 걱정 없이 지낼수 수 있도록 치매안심센터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자세한 치매 관련 문의는 각 지역의 치매안심센터 또는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를 통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