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청법위반, ‘몰랐다’는 변명은 통하지 않아… 자료 소지·전송 모두 처벌 대상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범죄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현행법 가운데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아청법)’은 가장 강력한 처벌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아청법위반에 해당하는 주요 항목 중 하나인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관련 범죄는 고의 유무와 관계없이 위법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아청법상 위반 행위로는 성착취물의 제작, 배포, 소지, 시청, 저장, 전송 등이 포함된다. 특히 최근에는 텔레그램, 웹하드, P2P 등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이뤄지는 디지털 파일 유통이 집중 단속 대상이 되고 있다. 단순히 파일을 내려받거나 보관하는 행위만으로도 형사처벌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법적 리스크를 인식하지 못한 채 위반 상태에 놓이기도 한다.


수사기관은 이러한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포렌식 분석을 강화하고 있으며, 휴대폰·컴퓨터·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파일까지도 조사 대상에 포함된다. 삭제된 파일 역시 복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흔적을 지우는 것으로 대응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반드시 인지해야 한다.


아청법위반으로 적발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수천만 원대 벌금형이 선고될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위반, 판매 목적이 확인된 경우에는 더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수 있으며,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록, 취업 제한 등의 후속 조치도 뒤따른다.


피의자 입장에서는 ‘미성년자인 줄 몰랐다’는 주장을 내세우는 경우가 많지만, 판례에서는 연령 확인 의무를 게을리한 것 자체도 과실로 판단해 책임을 물은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 고의성이 없었다고 해도, 자료를 다운로드하거나 공유한 정황이 객관적으로 입증되면 처벌을 피하기 어렵다.


최근에는 아청법 관련 혐의로 수사를 받거나 고소를 당한 이들 사이에서 사례 기반 정보 공유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다. 일부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유사 상황에 놓인 사람들의 초기 대응 과정, 조사 시 유의사항, 심리적 부담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경험담이 제한적으로 공유되고 있다. ‘성전카페’ 또한 이러한 기능을 일부 수행하고 있으며, 법률 조언이 아닌 공감과 참고 목적의 정보 공유에 그치는 특징이 있다.










※ 본 기사는 일반적인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작성된 콘텐츠입니다. 특정 사건에 대한 법률 자문이나 변호사 선임을 권유하거나 유도하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으며, 실제 대응은 반드시 변호사 상담을 통해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작성 2025.05.08 06:13 수정 2025.05.08 06:13

RSS피드 기사제공처 : 패트론타임스 / 등록기자: 진성완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3일
몽골의 야생, 독수리, 매
아빠와 썰매타기
이럴수가~기절초풍!
#쳇GPT, 1분만에 #AI 만드는 내얼굴!
국수가 적당하게 익었을때는 둥근 회전모양으로 생김
손빈아, ‘하동 고향에서 부르는 노래‘ 미스트트롯3, 전국콘서트
‘울엄마’ 요양원에서…모정, 이미자, 어버이날, 효도잔치
효도잔치, 판소리 버전, 연지실버로드요양원에서…
모죽 이야기, 저녁의 대나무, 인생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2일
2025년 5월 12일
산내들이색악기연구소 작은음악회 카페숲안에 문화복합공간 공간대여 #로컬비즈..
2025년 5월 11일
2025년 5월 11일
2025년 5월 11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