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반건축물 단독주택, 실거주 경매 입찰 시 반드시 확인할 점은?

이행강제금 부담, 단순한 위반이 아닌 반복적 부과 위험

대항력 있는 임차인? GPT분석으로 권리관계 미리 확인한다.

[부동산정보신문] 이현수 기자=본 기사는 리치고 경매파트너스의 GPT 기반 분석 데이터를 참고해 ChatGPT가 초안을 작성하고, 실무중개경력 17년의 공인중개사 나빌주가 검토 및 보완했습니다.

▣ 위반건축물 단독주택, 실거주 경매 입찰 시 유의사항

실거주 목적의 경매 입찰자에게 '위반건축물' 등록 여부는 중요한 판단 요소다.

최근 서울권 단독주택 경매물건 중 1회 유찰되어 최저 5억 9,854만 원에 재매각 중인 물건이 그 예다.


본 건은 **건축물대장상 34.51㎡이나, 실측 면적은 56.47㎡**로 불법 증축된 부분이 확인되며,

지자체에 의해 위반건축물로 등록된 상태다.


◾ 이행강제금 부담 유의

불법 증축 약 21.96㎡에 대한 이행강제금은 연 2회 부과될 수 있으며,

㎡당 10만 원 수준 기준으로 1회 약 220만 원, 연간 최대 440만 원,

장기 미시정 시 수년간 반복 부과될 수 있어 실입주자는 이에 대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다.


◾ 권리관계는 안전… 인수금액은 없음

본 사건의 임차인은 손혜옥 씨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상태였다.

그러나 법원 문건 및 GPT 분석 결과, 보증금 전액이 배당절차를 통해 회수되어 매수인이 인수할 금액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중복경매 사안이었으나 선행 사건과 병합되어 입찰 진행에는 큰 문제가 없다.


◾ 실투자금 분석 결과

리치고 경매파트너스의 AI 시뮬레이션 결과,

입찰가를 6억 1천만 원으로 설정할 경우, 취득세 약 2,800만 원,

위반건축물 이행강제금 약 880만 원까지 포함하면 총 실투자금은 약 6억 4,700만 원 수준이다.


◾ 실거주 시 유의사항

해당 물건은 안정된 권리 상태와 비교적 저렴한 유찰가로 인해 실거주자에게는 매력적이다.

다만, 불법 증축 부분이 매도 시 매수자 기피 사유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행강제금 장기 부과 시 부담이 될 수 있어, 건축과 상담 및 시정계획 확보가 권장된다.


▶ 이 기사는 리치고 경매파트너스의 프리미엄 분석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GPT 기반의 권리분석, 입찰가 추천, 이행강제금 예측 기능은 리치고 플랫폼 내에서 프리미엄 회원에게 제공됩니다.



블로글에서 상세한 물건 내용 확인 하기

https://blog.naver.com/5334986766/223878430372


이현수 부동산 전문기자

現 부동산중개법인 대표 공인중개사

경력 17년 이상의 상업·주거 부동산 중개 및 투자 컨설턴트

리치고 경매파트너스 콘텐츠 자문위원

매주 월·수·금, 빅데이터 기반 실전 투자 칼럼 연재 중

작성 2025.05.26 16:47 수정 2025.05.26 17:48

RSS피드 기사제공처 : 부동산정보신문 / 등록기자: 이현수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5월 29일
2025년 5월 29일
2025년 5월 28일
2026학년도 한국클래식음악신문사 입시평가회#음악입시 #입시평가회 #실기..
2025년 5월 28일
2025년 5월 27일
2025년 5월 27일
2025년 5월 27일
2025년 5월 27일
쇼팽 이전과 이후, 피아노는 어떻게 달라졌는가?#쇼팽 #Chopin #루..
2025년 5월 26일
2025년 5월 26일
2025년 5월 26일
2025 한국클래식음악신문사 콩쿠르
왜, 쇼팽인가?
2025년 5월 25일
2025년 5월 24일
2025년 5월 24일
2025년 5월 23일
2025년 5월 2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