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 번 국제 무역 질서를 뒤흔들 움직임을 보였다. 현지시간 3일, 트럼프는 10개에서 12개국을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율 서한'을 4일 발송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서한의 내용은 다음 달 1일부터 부과될 고율의 관세 정책을 예고하고 있다.

트럼프가 밝힌 관세율은 최소 10%에서 최대 70%에 달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한 경고를 넘어 실질적인 무역 압박 수단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상호관세 유예가 만료되는 8일을 앞두고 발표된 이번 조치는 협상에 소극적인 국가를 대상으로 한 '선례 만들기'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트럼프는 “지지부진한 무역 협상 태도를 바꾸기 위해 높은 수준의 관세가 필요하다”며 “이 조치는 협상에서 미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러한 움직임은 주요 교역국에 대한 무역 우위 확보와 정치적 입지 강화를 동시에 겨냥한 포석으로 평가된다.
미국의 관세 유예 종료 시점이 다가오면서, 향후 발표될 관세 대상국과 세율 구체화 여부에 따라 국제 무역의 판도가 요동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 속에서 트럼프식 무역 정책의 부활은 많은 국가들에게 불확실성을 가중시킬 전망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국제 무역 환경에 새로운 긴장을 불러오고 있다. 이는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정치적 전략이자, 본보기 효과를 노린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 정부는 이에 대해 외교적 대응에 착수했으며, 향후 각국의 전략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발언은 단순한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않고, 실제 무역 협상 테이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공산이 크다. 7월 1일 이후 관세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무역 질서 재편과 새로운 통상 갈등의 불씨가 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