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에 거주하는 성인 10명 중 7명 이상이 최근 치솟는 물가로 인해 생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한 지원보다 스스로 경제 흐름을 이해하고 대응하는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지난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물가 상승과 평생교육 수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86.6%가 생활물가 상승에 대해 ‘매우 심각’ 또는 ‘다소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여성(90.3%), 30대(88.5%), 50대(87.7%)의 체감률이 두드러졌다. 월소득이 276만 원 이하인 저소득층의 경우,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40.3%로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생활비 부담도 큰 폭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0.4%가 생활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혔으며, 이 중 19.0%는 ‘매우 어렵다’, 51.4%는 ‘약간 어렵다’고 응답했다. 특히 저소득 가구에서는 32.8%가 ‘매우 어렵다’고 호소했다.
물가 안정 정책에서 우선되어야 할 품목으로는 ‘달걀’이 41.2%로 가장 많이 언급됐고, 그 뒤를 이어 쌀(18.2%), 야채(13.4%), 돼지고기(9.4%) 등이 꼽혔다. 기초 식재료에 대한 높은 민감도는 주로 고령자층과 저소득층에서 나타났다.
경제 변화에 대한 교육 수요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54.0%는 ‘경제 흐름과 물가 구조에 대한 이해’를 우선 교육 과제로 지목했다. 교육 참여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9.8%로 집계되었으며, 이들 중 과반수는 ‘언제든지 시청 가능한 온라인 강의’ 방식(55.2%)을 가장 선호했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단순히 물가에 대한 불만을 넘어서 도민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국가 바우처 제도인 ‘평생교육이용권’을 통해 도민이 필요로 하는 경제 교육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 평생교육이용권’은 경기도민이라면 누구나 최대 35만 원 상당의 강좌 수강료와 교재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로, 경제적 제약 없이 학습 기회를 보장받을 수 있다. 해당 포인트는 지정된 평생교육기관 및 직업교육학원 등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용 가능 기관 목록은 전용 누리집(lllcard.kr/gyeonggi)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조사는 물가 상승으로 인한 생활고가 현실적인 문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동시에 경제교육에 대한 수요가 단순한 지원을 넘어 자립과 대응능력 제고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시켰다. 특히 온라인 강의와 바우처 제도를 연계한 교육 접근성이 주목받고 있어, 이를 통한 도민의 학습 역량 강화가 기대된다.
고물가 시대, 단순 지원이 아닌 '스스로를 일으키는 힘'이 필요하다. 경기도민의 목소리는 이제 교육 정책의 방향을 바꾸고 있으며, 평생교육이용권과 같은 제도가 보다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