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문화도시센터‘도시 간 콜로키움 관악 to 안동’참가자 모집

관악의 아이디어와 안동의 자원이 만나, 관악의 아이디어가 굿즈가 되고, 축제를 채운다!

지역을 연결하는 문화 교류 프로젝트 ‘2025 관악 투 로컬 안동’8월 6일까지 참가자 모집

청년과 만나 전통이 힙해지는 순간, 청년 주도 창의 문화콘텐츠 발굴! 전통과 현대 감각 결합

▲ 2024 도시 간 콜로키움 관악 to 안동 시즌2 [사진제공=관악문화재단]

 

김서중 기자 / 관악문화재단(대표이사 소홍삼) 관악구문화도시센터가 도시 간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콜로키움 사업의 일환으로 ‘2025 관악 투 로컬 안동’ 프로그램 참가자를 8월 6일까지 모집한다.

 

'관악 투 로컬 안동'은 관악구의 창의성과 안동의 전통문화 자원을 결합해 청년들이 주도하는 창의적 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도시 간 문화협력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둔 프로그램이다. 올해 슬로건은 '전통이 힙해지는 순간'으로, 관악과 안동이 문화로 소통하고 상생하는 플랫폼을 지향하며, 청장년층이 주도하는 창작형 문화기획의 장으로 운영된다.

 

이번 프로그램은 △안동 전통 고택을 중심으로 콘텐츠를 기획하는 '고택 로드(Go-Taek Road)'와 △굿즈 디자인 및 현장 부스를 운영하는 '악동기획단' 등 두 가지 세부 사업으로 진행된다.

 

‘고택 로드’는 안동 지역의 전통 고택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프로그램이다. 참가자들은 안동의 문화를 체험하고, 유서 깊은 고택에 직접 머물며 공간이 품은 역사와 스토리텔링 요소를 탐구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 감각의 콘텐츠를 기획하고, 향후 실제 행사에 적용될 프로그램을 구상한다. 2026년에는 이 아이디어들이 실제 고택을 채우는 콘텐츠로 구현될 예정이다.

 

‘악동기획단’은 관악구문화도시 굿즈를 직접 디자인하고, 브랜드 스토리를 기획하며, 2025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현장에서 부스 운영까지 수행하는 실천형 프로젝트이다. 기획부터 실행까지 직접 수행하며, 참가자들은 실질적인 문화기획의 역량을 갖출 수 있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8월부터 9월까지 4회차에 걸쳐 로컬 디깅(역량강화워크숍)을 실시해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기획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 관악문화재단 콜로키움 포스터 [사진제공=관악문화재단]

 

모집 대상은 문화기획과 지역문화에 관심 있는 청년, 예술가, 창작자, 지역활동가 등이며, 관악구 거주자 및 생활권자에게는 가산점이 부여된다. 모집 인원은 고택 로드 프로그램 각 시즌별 20명 이내, 악동기획단은 최대 3팀(15명 이내)이다.

 

참가비는 없으며, 특히 우수 기획안은 실제 사업으로 연계되어, 참가자가 직접 운영자로 참여할 기회도 주어진다.

 

신청은 8월 6일(수) 오후 11시 59분까지 온라인(구글폼)을 통해 접수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관악문화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관악구문화도시센터는 관악구가 가진 청년 문화 인프라와 예술 자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창작형 기획을 실현해왔다. ‘우주관문스쿨’, ‘동네방네 문화골목’, ‘도시 간 콜로키움’ 시리즈 등 지역 밀착형 프로그램을 꾸준히 운영하며, 청년과 시민이 주체가 되는 문화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작성 2025.07.28 06:30 수정 2025.07.28 06:30

RSS피드 기사제공처 : 국제언론인연합회 기부천사클럽저널 / 등록기자: 김서중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ai영상 순천만칠게빵 cf홍보영상 국제온라인6차산업협회 #마크강
여름하늘
아기꽃냥이
냇가
강아지풀이 통통해지면 가을이 온다
길고양이
소와 여름
2025년 7월 21일
#이용사자격증 #주말속성반 #직장인반
[자유발언] 딥페이크 이용 범죄의 원인과 해결방안
밤이 깊고 낮이 가까웠으니 3 - 장재형목사
어린왕자
빗소리
진돗개가 있는 아침 풍경
빨리 도망가
외국인들이 정말 부러워한 대한민국 시민의식
아기고양이
상처와 사랑
물 먹으러 온 벌
[자유발언] 정치 교육의 필요성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