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다이렉트뉴스=편집국] 대만 정부 고위 당국자가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행사에서 중국의 무력 위협을 정면으로 경고했다. 대만 행정원 대륙위원회(大陸委員會) 주임 장주청(邱垂正, Chiu Chui-cheng)장관은 13일(현지시간) “중국은 대만을 무력으로 강제로 점령하기 위한 준비를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 공산당이 무력 포기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지 않았으며, ‘중국몽(China Dream)’ 실현 과정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배제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장 위원장은 중국의 군사활동이 대만 주변에서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고 설명하며, 미국과 동맹국 군함들이 국제 수역인 대만해협을 정기적으로 통과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만약 중국이 무력으로 대만을 장악한다면 이는 아시아의 권력 구조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도미노 효과를 일으킬 것”이라며, 미국 안보뿐 아니라 미국 기술 산업의 이익에도 직접적인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만은 중국의 주권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며, 오직 대만 국민만이 미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미국은 공식적인 외교관계는 없지만 대만의 주요 국제적 후원자로 남아 있다.
이와 같은 경고는 미국 의회의 움직임과 맞물린다. 지난 5월 미 상원에서는 공화·민주 양당 의원들이 공동 발의한 ‘Taiwan Relations Reinforcement Act’가 제출돼 양국 관계 강화를 모색했고, 같은 날 하원에서는 ‘Taiwan International Solidarity Act’가 통과돼 대만의 국제기구 참여 권리를 지지했다. 이어 6월에는 하원에서‘Taiwan Non-Discrimination Act’가 만장일치로 가결되며, 대만의 IMF 복귀 등 국제무대 활동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흐름이 가속화됐다.
싱크탱크와 군사 당국의 분석도 잇따르고 있다. 미 인도·태평양사령부 사무엘 파파로 제독은 “중국이 대만을 군사적으로 봉쇄할 능력을 빠르게 확보하고 있다”며 긴장을 경고했고, 헤리티지재단은 보고서를 통해 “대만은 미국 서태평양 전략의 핵심”이라며 중국 손에 넘어갈 경우 인도·태평양 안보 질서가 근본적으로 흔들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도·태평양안보연구소(구 Project 2049 Institute) 역시 대만과의 관계 정상화를 공개적으로 주장하며 미국의 전략적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GDN VIEWPOINT
이번 발언은 미국과 중국 간 전략 경쟁이 고조되는 가운데, 대만이 안보 최전선에서 갖는 의미를 다시 한 번 부각시켰다. 특히 미국 기술산업까지 직접적인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고는 단순한 군사 충돌 이상의 파급효과를 시사한다.
중국이 대만을 무력으로 장악할 경우, 일본·한국·필리핀 등 동북아 및 동남아 지역 안보 질서 전반이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 이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직결되며, 동시에 글로벌 공급망 특히 반도체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만의 이번 경고는 단순히 자국 안보 차원을 넘어 미국 내부 정책 결정자와 국제사회에 “대만 문제는 곧 세계 문제”라는 점을 환기하는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