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평한 지구 믿던 유럽, 이미 우주를 계산하던 조선: 칠정산의 위대함

슈퍼컴퓨터도 감탄한 정밀 계산, 오차 0.1%의 기적

MIT·하버드·나사, 500년 전 조선을 다시 평가하다

동아시아 천문학의 정점, 세계 과학사의 중심에 선 대한민국

 

 

 

15세기, 유럽은 여전히 ‘지구가 평평하다’는 낡은 믿음에 갇혀 있었다. 천동설이 절대적인 진리로 여겨지고, 천체의 움직임은 신의 영역으로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지구 반대편 한반도에서는 이미 우주의 궤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하고 있었다. 바로 세종 시대에 편찬된 천문학 서적 ‘칠정산(七政算)’이다.

 

칠정산은 태양, 달, 다섯 행성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계산한 조선 최고의 천문 역법서였다. 이 책은 단순히 달력을 제작하기 위한 실용서에 그치지 않고, 천체 운동을 예측하는 수학 공식까지 담아낸 과학적 업적이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현대의 슈퍼컴퓨터로 재검증해도 그 오차가 0.1%도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 망원경조차 없던 시대에 이뤄낸 경이로운 성과였다.

 

세종은 백성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고자 과학과 천문학 발전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집현전 학자들과 천문 관측 전문가들을 모아 조선의 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역법서를 만들 것을 명했다. 당시 중국의 원나라에서 사용하던 ‘수시력(授時曆)’은 중국 지역의 천문 조건을 기준으로 작성된 탓에 조선에서 활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종은 동양의 역법을 토대로 하되, 조선의 천문 관측 데이터를 반영한 새로운 계산 체계를 만들도록 했다. 그 결과 1442년(세종24년), 마침내 ‘칠정산 내외편’이 완성됐다. 내편은 중국 원나라 역법을 보완하고, 외편은 아라비아와 이슬람 천문학 지식을 수용해 만든 부분이었다. 이는 조선이 동서양의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과학적 체계를 세운 상징적 사건이었다.

 

 

 

현대 과학자들이 칠정산을 다시 분석했을 때 가장 놀란 점은 그 계산의 정밀함이었다. 태양과 달의 위치, 행성의 공전 주기, 그리고 일식, 월식의 발생 시점까지 칠정산은 오늘날에도 거의 정확하게 예측해냈다. 슈퍼컴퓨터로 재계산한 결과, 오차는 고작 0.1% 미만이었다.

 

이는 단순히 경험적 관측을 넘어, 수학적 추론과 체계적 기록이 결합된 결과였다. 망원경이나 현대식 관측 장비가 전혀 없었던 15세기에 이 같은 성과를 거둔 것은 기적에 가깝다. 영국 왕립 천문대의 한 교수는 “망원경이 없던 시대에 이런 수학적 정확성을 어떻게 가능하게 했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조선의 천문학적 성과는 최근 들어 세계 학계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하버드대 천체물리학과 교수는 “500년 전 한국 과학자들이 현대 천문학자들보다 더 정확했다”며 놀라움을 감추지 않았다. MIT 연구팀 또한 “조선의 천문학은 동시대 전 세계를 200년 앞서 있었다”고 분석했다.

 

더욱이 조선이 기록한 ‘28수 별자리 관측 데이터’는 지금도 나사의 우주 연구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이는 조선의 기록이 단순한 역사적 유산이 아니라, 현대 과학 연구에도 여전히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과학원 역시 “동아시아 천문학의 정점은 조선의 칠정산”이라고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칠정산은 단순히 조선의 과학적 업적이 아니라, 세계 과학사의 흐름을 바꾼 중요한 유산이다. 유럽이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내놓기 전, 조선은 이미 수학과 관측을 통해 우주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될 만큼 중요한 문화유산인 칠정산은, 조선 초기 과학의 정점으로 오늘날에도 한국 천문세계를 ‘시간을 초월한 과학 강국’이라 부르는 이유다. 500년의 시간을 넘어 여전히 우리에게 과학적 영감과 자부심을 안겨준다.

 

이러한 전통은 현대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과도 연결된다. 반도체, 우주 개발, 인공지능 등 최첨단 분야에서 대한민국이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배경에는 과학과 학문을 존중한 세종 시대의 정신이 이어져 내려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작성 2025.09.14 08:24 수정 2025.09.14 08:27

RSS피드 기사제공처 : 더위즈덤 / 등록기자: 배현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