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으로 만난 스승, 연암 : 비판적 글쓰기의 힘을 배우다
연암 박지원, 시대를 넘어 살아 있는 글쓰기의 모범
조선 후기 최고의 문장가로 꼽히는 연암 박지원(1737~1805). 그의 글은 2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생생한 울림을 준다. 단순히 문학적 미학을 넘어 사회의 부조리를 비판하고, 삶의 태도를 드러내는 도구로 글을 활용했다. 연암의 글을 연구한 저자 설흔과 박현찬은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에서 연암의 문학 정신을 현대적으로 되살려낸다. 이 책은 단순한 평전이나 글쓰기 지침서가 아니다. 사실과 허구를 넘나드는 소설 형식을 통해 독자가 직접 연암의 제자가 된 듯 글쓰기의 본질을 체험하도록 안내한다.
팩션으로 풀어낸 글쓰기 철학 : 사실과 허구의 경계에서
이 책은 소설적 상상력과 역사적 사실을 결합한 ‘팩션(faction)’의 형식을 취한다. 연암의 아들 종채가 아버지의 글을 둘러싼 표절 논란을 추적하는 과정이 주요 줄거리다. 종채가 읽는 또 다른 이야기 속 주인공 김지문은 연암에게 직접 글을 배우며 성장한다. 독자는 이 이중 구조의 서사를 따라가며 자연스럽게 연암의 글쓰기 철학과 방법론을 접하게 된다.
연암은 글을 꾸미는 것보다 사실을 직시하는 힘을 중요시했다. 그의 문장은 화려한 수사를 거부하고,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담아내는 데 집중했다. 그가 제시한 글쓰기 원칙은 오늘날의 ‘팩트 체크’ 정신과도 맞닿아 있다. 허구적 장치 속에서도 진실을 향한 집요한 태도가 배어 있다.
오늘날 직장인과 학생에게 필요한 연암의 글쓰기 법칙
연암의 글쓰기 법칙은 단순한 기교가 아니라 삶을 바라보는 태도에 가깝다. 첫째, 글은 독서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많이 읽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정밀하게 읽어내는 능력이 중요하다. 둘째, 관찰과 통찰의 과정을 거쳐야만 글이 깊어진다고 말했다. 셋째, 법도를 지키되 시대 변화에 맞춰 변통해야 한다는 가르침은 오늘날에도 통한다. 넷째, 대립되는 관점을 아우르는 ‘사이’의 시각을 제시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직장인들에게 연암의 가르침은 실용적인 메시지를 던진다. 보고서나 기획서를 쓰는 데 있어서도 핵심을 정확히 짚고, 사실을 기반으로 논리를 전개하는 것이 가장 설득력 있다는 점이다. 학생들에게는 글쓰기와 독서가 단순한 학업의 도구를 넘어 삶을 살아가는 힘이라는 것을 일깨운다.
글쓰기, 곧 생각하고 살아가는 법
연암이 남긴 글쓰기 법칙을 관통하는 핵심은 “글쓰기는 곧 생각하기이며, 동시에 살아가기다”라는 점이다. 글은 순간의 언어가 아니라 오래 남아 자신의 뜻을 증명하는 증거다. 따라서 글을 쓰는 사람은 초심을 잃지 않고 분발하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오늘날 글쓰기는 학업, 직장, 사회생활 어디서나 요구된다. 보고서, 논문, 기획안, 자기소개서까지 글쓰기를 피할 수 있는 영역은 없다. 그러나 글쓰기를 단순한 기술로 접근하는 한계가 있다.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는 이 지점에서 중요한 통찰을 준다. 글쓰기는 단순히 글을 잘 쓰는 요령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고 자신을 표현하는 태도의 문제라는 것이다.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는 단순한 글쓰기 지침서가 아니라, 독자에게 연암의 제자가 되는 체험을 제공하는 인문실용소설이다. 팩션적 구성은 흥미를 더하고, 연암의 철학은 시대를 넘어 지금 우리에게 유효하다. 빠른 정보와 피상적인 글쓰기가 범람하는 시대에 연암은 다시 묻는다. “당신의 글은 당신의 생각과 삶을 제대로 증명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