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역사] 8. 흑요석이 말하는 오키나와의 고대 교역사

조몬·야요이 시대부터 이어진 해상 네트워크

조개의 길과 토기, 그리고 금속으로 이어진 교역 증거

류큐 왕국의 번영을 이끈 동아시아 중계무역

사진=AI생성이미지

 

오키나와에서 발견된 흑요석은 이 지역의 초기 교역 활동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로 평가된다. 오키나와의 선사 시대는 일본 본토의 조몬·야요이 시대와 구분되는 독자적 시대 구분을 가지고 있으며, 약 3만 2천 년 전의 야마시타 동굴인과 1만 8천 년 전의 미나토가와인 화석은 당시 오키나와가 아시아 대륙과 연결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 시기에는 교역이라기보다는 동물의 이동을 따라 인류가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선사 시대 오키나와는 토기가 출현하기 전의 후기 구석기 시대와 토기가 사용된 패총 시대로 나눌 수 있다. 패총 시대는 다시 조몬 시대와 대응되는 전기, 야요이부터 헤이안 시대로 이어지는 후기로 구분된다. 오키나와의 패총 문화는 약 7천 년 전 시작되어 12세기까지 이어졌다.

 

오키나와는 흑요석 산지가 아니지만, 조몬 시대 말기 유적에서 흑요석이 출토되었다. 이 흑요석은 규슈에서 들여온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이미 규슈와 오키나와 사이에 교역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패총 시대의 교역

조몬 시대의 오키나와는 규슈와 유사한 문화적 특징을 보였으나 약 3500년 전부터는 오키나와 특유의 조몬 문화가 나타났다. 그럼에도 규슈 조몬 문화와 야요이 문화의 영향은 계속 이어졌다. 특히 조몬 후기에는 규슈와의 교류가 활발했고, 용·나비 모양의 조개 장신구를 통해 중국과의 간접적 연계도 확인된다.

 

패류 교역도 중요한 부분이었다. 오키나와와 아마미 제도에서 산출된 고호우라 조개와 이모 조개는 규슈로 수출되어 팔찌로 가공된 뒤 일본 전역에 퍼졌다. 이른바 ‘조개의 길’이라 불린 이 교역망은 약 800년 동안 유지되었다. 아마미에서는 나전 세공의 원료인 야광 조개가 집적되었으며, 당나라 화폐인 개원통보가 발견돼 당시 규슈 상인의 활발한 활동을 보여준다.

 

또한 규슈산 조몬 토기와 야요이 토기가 오키나와에서 확인되었으며, 사키시마 제도의 시모타바루식 토기는 대만 토기와 유사해 동남아 문화의 영향이 뚜렷하다. 시모타바루 이후 약 2500년 전에는 무토기 문화가 전개되었으나, 이 시기에도 조개 도끼 등 동남아시아적 요소가 존재했다.

 

패총 시대 후반에는 철기와 개원통보 화폐, 야광 조개가 중요한 교역품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중국과 규슈 남부와의 관계가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구스쿠 시대의 변화

12세기 무렵부터 오키나와는 농경 사회로 전환되며 각지에 구스쿠를 중심으로 한 세력가들이 등장했다. 이 시기의 교역은 더욱 활발해져 철기, 중국 도자기, 곡물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도쿠노시마산 도자기나 나가사키 돌냄비가 발견되어 일본 본토와의 연결도 분명해졌다.

 

14세기 초 오키나와는 호쿠잔·추잔·난잔의 세 왕국으로 분열된 산잔 시대에 들어섰고, 각 왕국은 중국과의 교역을 통해 경제적 기반을 다졌다.

 

류큐 왕국의 대교역 시대

1429년 쇼하시가 삼산을 통일하고 류큐 왕국을 세우자 오키나와는 해상 교역의 중심지로 도약했다. 1372년 추잔의 삿토 왕이 명나라에 처음 사신을 보낸 것을 시작으로 류큐는 중국과 공식 교역을 전개했다. 이후 류큐는 중국, 일본, 조선, 동남아시아를 잇는 중계 무역의 거점으로 성장했다.

 

중국에 바쳐진 공물에는 오키나와 특산품인 말, 유황, 조개, 바쇼후뿐 아니라 일본과 동남아시아 물품이 포함되었다. 류큐는 일본에 중국 비단과 도자기, 동남아 향료를 수출하고 일본도·부채·칠기를 수입했다. 이러한 무역은 류큐의 경제적 번영과 독자적 문화 형성에 크게 기여했다.

 

흑요석에서 시작된 교역은 조개, 토기, 금속, 화폐로 이어졌고, 류큐 왕국의 대교역 시대를 통해 절정을 맞이했다. 오키나와는 선사 시대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해상 교류의 핵심 거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키나와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단순한 고고학적 발견을 넘어, 이 지역이 고대 동아시아 교역망의 중추였음을 보여준다. 흑요석은 규슈와의 초기 연결을, 조개와 토기는 일본과 동남아시아와의 관계를, 금속과 화폐는 중국과의 교역을 증명한다.

작성 2025.09.15 11:05 수정 2025.09.16 09:52

RSS피드 기사제공처 : 오키나와포스트 / 등록기자: 임영상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